실적

    날짜선택
    • "짐 쌉니다" 해마다 1천 명씩 줄어든 은행원..업계는 '최고 실적'
      해마다 1천 명의 은행원이 회사를 그만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희망퇴직 확대와 오프라인 점포 통합 등에 따른 결과라는 분석입니다. 9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주요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지난해 9월 말 임직원 수는 5만 6,728명이었습니다. 5년 전인 지난 2019년 9월 6만 1,286명보다 4,558명 줄었습니다. 해마다 약 1천 명의 은행원이 짐을 쌌다는 얘기입니다. 은행별로는 국민은행 임직원이 지난 5년간 1,523명 줄어 가장 많이 감소
      2025-01-09
    • "영업이익 1조 롯데케미칼 여수2공장 멈춘다"
      【 앵커멘트 】 한해 조 단위의 영업이익을 거두며 롯데그룹의 현금 물줄기로서 역할을 하던 롯데케미칼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적자 탓에 결국 여수2공장 가동을 멈춥니다. 중국발 과잉공급 탓인데, 롯데케미칼 실적 부진이 롯데그룹 전체의 경영 위기로 번지고 있습니다. 박승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석유화학제품 기초소재를 생산하는 여수산단 내 롯데케미칼입니다. 지난 2021년 1조 5천억 원의 영업이익 냈지만 이듬해부터 실적이 빠르게 악화되더니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올해도 3분기까지 누적 영업손실이 6,
      2024-12-02
    • "실적 할당" 장흥군 인구 늘리기 '논란'
      【 앵커멘트 】 장흥군이 인구 늘리기를 위해 각 부서별로 전입 목표치를 할당하고 실적 관리에 나서 논란을 빚고 있습니다. 인위적인 인구 늘리기에 군청 직원들의 불만이 거세지는 데다 별다른 성과도 없어 잡음만 커지고 있습니다. 이상환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장흥군이 각 부서에 전입시켜야 할 인구를 할당하고 관리하기 시작한 건 올해 4월부터입니다. 전입 목표치인 950명을 각 부서에 할당했고, 분기별로 실적을 공지하고 있습니다. 부서에 전입 실적 1명당 5만 원의 지역사랑상품권을 주기 위해 추경 예산도 세웠
      2024-10-18
    • 잘 나가는 전남 김..내년 1조원 바라본다
      【 앵커멘트 】 올해 전남 산 김이 품질과 가격, 위판고에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2년 연속 부진했던 작황이 크게 호조를 보인 데다 수출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내년에는 전남산 물 김 위판고가 사상 처음으로 1조 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김 위판 현장을 고익수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 기자 】 해남군 화산면의 수협 위판장에서 막바지에 다다른 2024년산 물김 위판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끝물이라 위판량은 많지 않지만 경매에 참여한 관계자들의 표정이 밝습니다. 지난 2년 동안 생산초기 갯병
      2024-04-12
    • '역대 최대 실적' 재도약 나선 금호타이어
      【 앵커멘트 】 경영 악화로 지난 2018년 중국 더블스타에 인수된 금호타이어가 지난해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올해도 전기차 전용 타이어 생산에 나서는 등 공격적인 투자를 예고하고 있어 금호타이어의 경영 정상화에 속도가 붙을지 관심입니다. 박성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금호타이어는 지난해 매출 4조, 영업이익 3천8백억 원을 달성하면서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거뒀습니다. 2020년부터 2년간 적자였던 금호타이어는 2022년 231억 원의 영업이익을 낸데 이어 1년 만에 영업이익이 1,578% 가까이 상
      2024-03-24
    • 비싼 차 많이 판 현대차, 분기 역대 최고 실적
      반도체 수급난과 중국 도시 봉쇄에 따른 부품난 등 각종 악재에도 불구하고 현대차가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고 실적을 올렸습니다. 현대차는 지난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35조 9,999억원과 2조 9,798억 원으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분기 사상 최고액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기존 매출 최고 기록은 지난해 4분기 기록한 31조 265억원이었고 영업이익은 2014년 2분기 2조 872억원이었습니다. 현대차는 반도체 공급부족으로 인한 생산감소와 코로나 확산에 따른 중국 도시 봉쇄로 부품난이 가중되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2022-07-21
    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