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 양잠리 조간대 발굴조사 보고서’
2019년 갯벌서 발견 ‘취두·검파’ 연구
국내 최초 완전한 모양 발굴 궁궐기와
상단에 꽂는 칼자루 모양 토제 장식품
2019년 갯벌서 발견 ‘취두·검파’ 연구
국내 최초 완전한 모양 발굴 궁궐기와
상단에 꽂는 칼자루 모양 토제 장식품
조선시대 전기의 궁궐 용마루 장식기와에 대한 연구 결과를 담은 보고서가 발간됐습니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2019년 태안 양잠리 갯벌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2년에 걸쳐 국내 최초로 완전한 모양으로 발굴된 궁궐 장식기와인 취두와 기와 장식품인 검파 등 출토유물 13점에 대한 발굴과정과 조사·연구 내용을 수록한 ‘태안 양잠리 조간대 발굴조사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조간대(潮間帶)’는 해안에서 밀물 때 해면과 육지의 경계선인 ‘만조선’과 썰물 때 해면과 육지의 경계선인 ‘간조선’ 사이의 부분입니다.
‘취두(鷲頭)’는 궁궐 등 왕실 관련 건축물 용마루 양쪽 끝에 설치하는 대형 장식기와입니다.
‘검파(劍把)’는 취두 상단에 꽂는 칼자루 모양의 토제 장식품입니다.
태안 양잠리 조간대에서는 2019년 주민의 신고와 함께 취두의 하단이 처음 발견된 것을 시작으로, 2021년에는 취두의 상단이, 2022년에는 취두의 상단에 꽂는 검파가 발굴되면서 완전한 형태의 취두가 완성되어 학계와 국민의 관심을 모았습니다.
취두는 마루장식기와의 일종인 만큼, 태안 양잠리 발굴조사는 조선시대 왕실의 마루장식기와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를 확보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참고로, 취두는 고려시대부터 임진왜란 전까지는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대상물이었지만 조선후기에는 왕실 관련 건물의 축조와 보수가 증가하면서 상징성보다는 실용성이 부각되었습니다.
‘마루장식기와’는 목조건축의 지붕마루에 사용되어 건물을 수호하거나 권위와 미관을 돋보이게 하는 특수기와입니다.
연구 결과 발굴된 취두는 숭례문과 양주 회암사지의 취두 등과 그 문양이 매우 유사한 점 등을 근거로 조선 전기 용산 와서에서 생산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전주 경기전 또는 충청 이남 지역 등으로 이동하다가 태안에서 난파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와서(瓦署)’는 조선 시대에 왕실에서는 쓰는 기와나 벽돌을 만들어 바치던 관아입니다.
보고서에는 태안 양잠리 조간대의 발굴조사 내용과 취두, 검파 등 유물 도면과 사진, ‘고려사절요’, ‘조선왕조실록’, ‘의궤’ 등 고려~조선시대의 문헌으로 본 마루장식기와의 특징과 변천사가 담겼고, 숭례문과 양주 회암사지, 서울 진관사에서 출토된 유물들과 비교분석한 내용도 수록됐습니다.
또한, 이번 발굴로 서울 진관사에서 쓰임새를 알지 못한 채 특수기와로만 알려져 있던 파편 유물 1점이 검파라는 것을 확인한 성과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진관사지 검파는 칼손잡이 부분만 남아 있으나, 태안 양잠리에서 발굴된 검파와 매우 유사한 형태와 문양을 보입니다.
‘진관사(津寬寺)’는 서울 북한산 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려 현종 2년(1011)에 창건하여 조선 후기까지 왕실과 국가적인 제례 담당했습니다.
보고서는 국공립 도서관, 박물관, 연구기관 등에 배포하고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누리집(http://www.seamuse.go.kr)에도 공개해 누구나 열람할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궁궐 #왕궁 #용마루 #장식기와 #태안양잠리 #취두 #검파 #궁궐기와 #토제장식품
Copyright@ KWANGJU BROADCASTING COMPANY. all rights reserved.
랭킹뉴스
2024-11-22 21:28
어등대교 파손.."교통량 변화 무시한 관리가 원인"
2024-11-22 20:37
'폭탄 설치했다' 킨텍스 폭탄 테러 예고에 대피 소동
2024-11-22 20:36
메탄올 든 술 마신 라오스 외국인 관광객..사망자 6명으로 늘어
2024-11-22 16:30
폐지 줍는 줄 알았는데..손수레 끌며 택배 '슬쩍'
2024-11-22 15:52
'마세라티 뺑소니범'에 징역 10년 구형.."유족에 사죄"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