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저가항공 투자 잇따라...무안공항은?

    작성 : 2016-07-07 20:42:33

    【 앵커멘트 】
    제주와 부산에 이어, 경상남도가 지방공항 활성화와 안정적인 항공노선 확보를 위해 저가항공사 설립에 뛰어들었습니다.

    광주시와 전라남도도 적극적으로 검토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이계혁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경상남도가 김해공항을 거점으로 하는 저비용 항공사, 가칭 '남부에어'를 설립합니다.

    내년 말 첫 출항을 목표로 국내*국제선을 운영할 계획입니다.

    ▶ 인터뷰 : 최만림 / 경남도 미래산업본부장
    - "명실공히 남부권의 항공*물류산업 육성으로 남부권 신공항의 든든한 기반을 닦아나갈 예정입니다"

    CG
    현재 지자체가 지분을 가지고 있는 항공사는 제주를 기반으로 하는 제주에어와 부산의 에어부산, 전북의 이스타항공 등 4곳입니다.

    지자체들이 잇따라 항공사업에 뛰어드는 이유는 안정적인 노선 확보를 통해 지방공항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입니다.

    광주,전남의 상황은 어떨까?

    일단 시도 모두 저가 항공사 설립은 검토하지 않고 있습니다.

    대신 광주시는 광주-부산 노선과 광주-인천 노선의 신규 취항을 항공사 등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전라남도는 오는 2020년 개항하는 흑산공항과 무안공항을 연결하는 소형 항공기 운항사 건립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위광환 / 전남도 건설도시국장
    - "흑산 소형공항 개항에 맞춰서 전남개발공사에서 소형 항공기 운항을 위한 항공사 설립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대한항공의 광주-김포 노선 폐지로 존폐 기로에 놓인 광주공항과 연간 이용객 30만 명에 그치고 있는 무안공항.

    때문에 지자체나 지역 자본이 광주전남을 거점으로 하는 항공사를 설립해 국내외 노선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는 주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 스탠딩 : 이계혁
    다만 지자체들의 하늘길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예산 낭비를 막기 위한 충분한 사전검토가 면밀히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c 이계혁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