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시즌 또 미루는 학생들

    작성 : 2016-02-02 20:50:50

    【 앵커멘트 】
    사상 최악의 청년 취업난에 졸업을 미루는
    학생들이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부 대학에서 이런 학생들을 돈벌이
    수단으로 악용하고 있어 비난을 사고 있습니다.
    정의진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8학기를 다니고 학점까지 다 채운 27살 김 모 씨.

    하지만 졸업 유예 신청을 하고 대학 5학년이 됐습니다.

    졸업 예정자 신분이 취업에 더 유리할 것이란 판단에섭니다.

    ▶ 인터뷰 : 김 씨 / 졸업유예생
    - "(인사 담당자가)졸업생은 취업 전까지 빈 공간이 생기면 흔히 말하는 스펙을 어떻게 채웠는지 만약에 못 채웠다면 단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청년 실업률이 1999년 통계를 작성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할 만큼 취업구멍이 좁아지면서//


    김 씨처럼 졸업을 미루는 학생들은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이봉용 / 대학 3학년
    - "졸업하기 전까지 취업이 힘들 것 같아서 1~2년 동안 부족한 영어나 자격증에 대해서 좀 더 공부하는 게 나을 것 같아서 졸업유보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학생들에게 일부 학교에서는 수강신청 의무, 졸업유예 신청비 등의 명목으로 많게는 수십만 원씩 부담을 지우고 있습니다//

    ▶ 싱크 : 대학 관계자
    - "졸업유예생이 늘어나면 재학생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인건비 문제도 있고...재학생 충원율, 전임교원 확보율, 재학생 수 뭐 이런 것 다 (대학평가에서)점수가 깎이는 부분도 있고 그렇습니다 "

    광주의 한 대학은 졸업 유예 가능 횟수를 3회에서 2회로 줄였다가 학생들의 반발로 3개월 만에 철회하기도 했습니다.

    거세지는 취업 한파에다 잇속만 생각하는 학교의 장삿속에 졸업유예생들의 설움이 커지고 있습니다. kbc 정의진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