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에 대해 정부가 각종 대책들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광주*전남에서는 피해자로 인정된 사람이 단 6명에 불과한데, 절차와 기준이 까다롭고 지자체도 소극적인 대응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이계혁 기잡니다.
【 기자 】
한 보육시설에서 생활하던 생후 2개월 영아가 폐질환으로 숨진 건 지난 2011년.
문제의 가습기 살균제 피해가 의심됐지만 구체적 근거가 확보되지 않아 피해 판정을 받지 못했습니다.
▶ 싱크 : 시설 관계자
- "그 방 아이들이 감기가 더 많이 걸리거나.. 그런 게 있었어요"
CG
가습기 피해 접수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을 통해 이뤄지며 이후 환경부까지 5-6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CG
현재 4차 피해 신청을 받고 있는데 판정이 끝난 1, 2차 신청에서 광주전남 신청자는 모두 22명에 피해 인정자는 6명에 불과합니다.
▶ 인터뷰 : 정은정 / 광주환경운동연합
- "인터넷을 못하는 환경이나 노령층은 신고조차 할 수 없고 또 문서가 굉장히 복잡하기 때문에 포기하시는 분들이 꽤 있단 말이에요"
절차가 까다롭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광주시와 전라남도도 지난달 창구를 만들어 상담과 홍보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주로 시설을 대상으로만 홍보를 하고 있어 일반인의 상담, 접수 건수는 하루 1-2건에 불과합니다.
▶ 싱크 : 전남도 관계자
- "예산 문제도 있어서 사회취약시설에 대해서 유인물을 배포했구요. 문의는 많지 않습니다. 하루 한 건이나 두 건 정도?"
현재 서울 한 곳뿐인 진단 병원이 전남대병원 등 전국 8개 병원으로 확대되면 시간 소요는
다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됩니다.
▶ 스탠딩 : 이계혁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를 더욱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해 지자체가 더욱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c 이계혁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