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점검]교육*편의시설 낙후..혁신도시 안 온다

    작성 : 2015-08-31 20:50:50

    【 앵커멘트 】
    이처럼 혁신도시 기관 직원들이 가족들의 이주를 꺼리는 이유는 자녀 교육과 생활 편의 환경이 생각보다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직원들이 대부분 나홀로 이주하면서
    오피스텔은 2천 세대가 넘게 입주한 반면,
    아파트는 5달이 넘도록 다 차지 않고 있습니다

    김재현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 근무하는 김진섭 씨는 지난해 12월 해외지사 근무를 마치고 본사로 복귀하면서 광주에 거주지를 마련했습니다.

    차량을 이용한 출퇴근 시간은 왕복 한 시간.

    가까운 거리가 아니지만 초등학생인 두 자녀의 교육환경을 고려해 광주에 집을 마련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 인터뷰 : 김진섭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학교 다녀야 하고 운동도 해야 되고 또 기타 방과 후 과외도 받아야 되니까 학원 문제들이 좀 신경이 쓰였습니다."

    생활 편의 시설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점도 가족들이 이주를 꺼리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상가 건물들은 속속 들어서고 있지만 비싼 임대료 때문에 대부분 점포들은 비어있습니다.

    의료시설도 혁신도시 입주가 시작된지 일 년 반이 지나도록 병원 두 곳이 들어선게 전붑니다.

    가족 단위 이주가 좀처럼 늘지 않으면서 아파트 입주율도 예상을 밑돌고 있습니다.

    ▶ 싱크 : 아파트 관리사무소
    - "입주 지정 기간을 한 3개월 줬다고 하면 70% 이상은 그 기간 동안에 다 입주하거든요 보통 아파트 보면.. 근데 여기는 꽤 걸렸어요. 3개월 안에 달성해야 될 것이 지금 5개월 걸리고 있는 거죠. "

    반면 혼자 사는 세대가 많아지면서 오피스텔 입주자들은 크게 늘었습니다.

    빛가람혁신도시 전입인구가 9천 명을 돌파한 가운데 오피스텔 입주 세대만 2천 세대를 넘겼습니다.

    ▶ 싱크 : 공인중개사
    - "아파트는 투기 수요가 좀 있어서 가격이 좀 올라가는 편이고 오피스텔 같은 경우는 투기 대상이 아니잖아요. 투기 수요가 아니니까 가격도 안 비싸고.."

    교육 시설은 물론 비싼 임대료 등의 영향으로 편의시설들의 입점마저 부진하면서 혁신도시로의 인구 유입이 더뎌지고 있습니다.
    kbc 김재현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