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네, 올해 여수 가막만의 자연산 새조개와 바지락 채취량이 크게 줄었는데요...
고수온 때문에 집단 폐사한 걸로 추정되지만, 실태 파악이 늦어지면서 얼마나 많은 조개가 왜 죽었는 지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박승현 기잡니다
【 기자 】
지난해 1/5 수준인 올해 20억 원 어치의 자연산 새조개가 채취된 여수 가막만입니다.
바닷속을 살펴봤습니다.
밑바닥에 어른 주먹만한 크기의 새조개들이
입을 벌린 채 죽어있습니다.
인근의 또 다른 곳에선 역시 떼죽음 당한 바지락이 썩어가고 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이 이 일대 해역을 조사한 결과
새조개를 비롯해 바지락, 키조개 등 자연산 패류 대부분이 집단 폐사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인터뷰 : 박근호 / 여수환경운동연합 해양환경위원장
- "새조개나 이런 패류들이 폐사해 있고 나머지들도 상태가 안 좋았죠. "
두 달 전 같은 바닷속을 촬영한 화면과 비교하면 패류 집단폐사 심각성은 확연하게 드러납니다.
▶ 스탠딩 : 박승현
- "이렇게 패류가 폐사한 건 27도 이상 고수온이 지속됐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
하지만 어디까지나 추정일 뿐 정확한 폐사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또 얼마나 많은 패류가 죽었는지 파악조차 안 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박성미 / 여수시의원
- "원인조사와 기후변화로 인한 문제점이 있는지에 대해서 연구를 해서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남해안 황금어장에서 패류들이 잇따라 떼죽음을 당하고 있지만 원인조차 밝혀지지 않아 어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kbc 박승현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