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남> 이번 35주년 518 기념식도 끝내 둘로 나눠져 반쪽짜리로 치러졌습니다.
여> 또 전야제에 참석하려던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에 대한 물세례가 기념식이나 기념행사보다 크게 전국적으로 부각되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정경원 기잡니다.
【 기자 】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엄수된 5.18 제35주년 기념식에는 정부 대표로 최경환 총리 대행이 참석해 기념사를 읽어 내려갔습니다.
▶ 싱크 : 최경환/ 총리 직무대행
- "5.18 정신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밝히는 등불이 되어 우리 모두의 가슴 속에 영원히 살아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정부 주관 기념식이 열린 뒤 처음으로 대통령과 국무총리가 아닌 총리 대행이 직접 기념사를 한데다 경과보고 역시 지방보훈청장이 아니라 묘지관리소장이 맡으면서 5.18의 위상이 또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같은 시각, 금남로 5.18 민주광장에서는 또 다른 기념식이 열렸습니다.
보훈처가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과 기념곡 지정을 거부한 것에 반발해 행사위가 별도의 기념식을 개최한 겁니다.
▶ 싱크 : 김정길/ 5.18 상임행사위원장
- "5.18 민주항쟁 정신이 누더기처럼 갈갈이 찢기고 철저히 외면당하고 있는 상황을 더 이상 방관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한편, 지난 17일 저녁 전야제에 참석하기 위해 금남로를 찾았던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물세례를 받은 것에 대해 우려의 시선도 많습니다.
시민들은 정부의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과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거부를 비판하며 김 대표에게 물세례와 야유를 보냈고, 김 대표는 결국 자리를 떠야 했습니다.
▶ 인터뷰 : 지병근 / 조선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광주 정신을 살릴 수 있는 그런 계기가 (5.18) 행사에서 마련이 돼야하고 그러려면 외부인들에 대해서도 따뜻하게 맞이하는 것도 굉장히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5.18 기념행사를 계기로 자꾸만 추락하는 5.18의 위상을 다시 끌어올리는 것뿐만 아니라 80년 광주의 대동정신을 발휘해 5.18의 전국화를 이루는 게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kbc 정경원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