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강진서 고려중기 가마터 원형 발굴

    작성 : 2012-11-20 00:00:00



    청자고을 강진에서 고려중기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가마터가 발굴됐습니다.







    이 가마터는 원형을 거의 유지하고 있어



    천년 비색을 밝혀줄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지용 기자의 보돕니다.











    강진 사당리에 있는



    43호 고려청자 요지 발굴 현장입니다.







    길이 20미터, 폭 1.8미터 크기의



    장타원형으로



    갑발과 진흙을 이용해 축조된 것으로



    보입니다.







    가마의 앞부분인 요전부와 아궁이,



    번조실과 초벌칸 등의 원형이



    거의 살아 있어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이곳에서 인각청자와 음각연판문 등



    고려 중기의



    대표적인 문양의 자기가 출토되면서



    12세기 중후반에 이용됐던 가마 구조가



    처음으로 실체를 드러냈습니다.







    인터뷰-정양모/전 국립중앙박물관장



    "원형이 확인된 것 처음이다"







    아궁이와 번조실 사이에 있는 불턱은



    아궁이의 열기를



    번조실을 지나 초벌칸까지



    전달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 10여 미터 길이의 번조실은



    중국의 선진 도요 기법이



    도입된 것으로



    고려청자가 지닌 천년 비색의 비법을



    풀 수 있는 열쇠가 될 기대됩니다.







    인터뷰-한성욱/발굴조사단 책임연구원



    "천년 비색 열쇠가 될 것으로 기대"







    이번 고려중기의 가마터 원형 발굴로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에



    학술적 토대가 마련됐고,



    강진이 고려청자의 성지로서



    다시 한 번 주목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kbc정지용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