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은행의 미성년 예·적금 계좌 잔액이 4년 만에 20%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4일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실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미성년 예·적금 계좌(원화·외화 포함) 잔액은 7조 8,09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1년 전인 2023년 말(7조 4,661억 원)보다 3,429억 원(4.6%), 2020년 말(6조 4,977억 원)보다는 1조 3,114억 원(20.2%) 증가한 금액입니다.
지난해 말 예·적금 잔액을 구간별로 살펴보면, '1천만 원 미만'이 467만 9,248만 개(4조 6,592억 원)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1천만 원 이상 5천만 원 미만' 15만 3,348개(2조 4,896억 원) △'5천만 원 이상 1억 원 미만' 3,525개(2,202억 원) △'1억 원 이상 5억 원 미만' 1,727개(2,899억 원) △'5억 원 이상' 145개(1,502억 원) 등이었습니다.
미성년자의 예·적금 잔액이 늘어난 것과 달리, 계좌 수는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미성년 예·적금 계좌 수는 지난 2020년 말 약 527만 개에서 2023년 말 498만 개, 지난해 말 484만 개로 줄었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말 계좌 당 잔액 평균은 약 161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2023년 말(약 150만 원)보다 7.6%, 2020년 말(약 123만 원)보다는 30.9% 불어났습니다.
전체 미성년 예·적금 계좌 수는 감소세지만 고액 계좌는 늘었습니다.
5억 원 이상 고액 예·적금 계좌 수는 작년 말 145개로 전년 말(136개)보다 증가했습니다.
이들의 잔액은 1,348억 원에서 1,502억 원으로 154억 원(11.4%) 늘어나는 등 더 높은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계좌당 평균 잔액이 10억 원이 넘었고, 지난해 8월 기준으로 잔액이 100억 원을 넘는 계좌도 있었습니다.
진 의원은 "미성년자 계좌를 이용한 편법 증여 가능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며 "일정 금액 이상의 예·적금에는 증여세 신고 기준 강화를 검토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