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최고 10%대 금리 효과를 내는 정책 상품인 '청년희망적금' 중도 해지자가 70만 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출시 당시 고금리에 일부 은행 앱이 마비될 정도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지만, 청년층 주머니 사정이 갈수록 나빠짐에 따라, 가입자 4명 중 1명 꼴로 적금을 깬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융감독원이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에 제출한 '청년희망적금 운영 현황'에 따르면 해당 상품이 출시된 지난해 2월 당시 최초 가입자는 289만 5,546명에 달했습니다.
하지만 지난 5월 말 기준, 중도 해지자 수가 68만 4,878명으로 집계돼, 중도 해지율은 23.7%로 나타났습니다.
납입 금액대별 해지 현황을 살펴보면, '10만 원 미만' 납입자의 중도 해지율이 49.2%로 가장 높았습니다.
'10만 원 이상~20만 원 미만' 48.1%, '20 만원 이상~30만 원 미만' 43.9%, '30만 원 이상~40만 원 미만' 40.3%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납입 한도인 50만 원을 꽉 채워 납입한 청년들의 경우 중도 해지율이 14.8%로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애초 납입 여력이 되는 청년들이 납입기간 중 생긴 변수에도 대처가 용이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나이가 많을수록 중도 해지율이 낮은 편이었습니다.
가입 상한 연령인 만 34세의 중도해지율은 21.2%인데 반해 가입 하한 연령인 만 19세의 해지율은 27.9%에 달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총 급여 3,600만 원 이하 만 19~34세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고자 문재인 정부에서 출시한 정책 금융 상품입니다.
만기 2년 동안 매달 50만 원 한도로 납입할 경우 정부 지원금(저축 장려금)까지 합쳐 연 10% 안팎의 금리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됐습니다.
높은 금리 수준에 출시 초기, 은행 앱이 먹통이 될 정도로 가입 신청이 폭주했습니다.
당시 정부는 가입자 규모를 38만 명으로 예측했으나 300만 명에 가까운 가입자가 몰렸습니다.
하지만 고물가·고금리에 저축 여력이 줄고 지출 변수가 많은 20·30 세대의 급전 수요가 맞물리며 중도 해지자가 급증한 것으로 보입니다.
최대 36만 원의 정부 지원금이 만기 시 한꺼번에 지급되는 구조라 매달 쌓이는 이자 효과를 체감하기 어려운 측면도 중도 해지율을 높였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 때문에 금융당국은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한 정책 목표 아래 최근 출시한 '청년도약계좌'의 중도 해지 방지 방안을 두고 추가 논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윤석열 대통령의 주요 대선 공약 중 하나로, 5년간 매달 70만 원 한도로 적금하면 지원금(월 최대 2만 4천 원) 등을 더해 5천만 원가량의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됐습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청년도약계좌 만기가 5년으로, 청년희망적금보다 3년가량 길지만 적금 유지율 목표는 70%대 중반으로 잡고 있다"며 "추가적인 적금 유지 방안을 위해 연구 용역도 진행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가입자가 급전 수요에 중도 해지하지 않도록 청년도약계좌와 연계한 적금담보부대출 운영, 햇살론 유스 대출 시 우대금리 지원방안 등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
매달 쌓이는 정부 지원금과 이자 수준을 은행 계좌나 앱을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산 시스템도 개발 중으로 알려졌습니다.
랭킹뉴스
2024-11-21 22:26
'직무유기·비밀누설' 전 광주청 수사관 2심도 3년 구형
2024-11-21 21:29
"또 빠져?" 철제 이음장치 나뒹군 어등대교..시민 불안 가중
2024-11-21 21:20
입소 사흘째 훈련병 구보하다 쓰러져 사망
2024-11-21 21:17
라오스서 메탄올 섞인 술 마신 관광객 4명 숨져
2024-11-21 20:33
20대 심장 수술 뒤 '식물인간'..병원 손해배상 책임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