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날짜선택
    • 제5회 kbc 전국 청소년예술제 시상식·전시회 열려
      제5회 kbc 전국 청소년 예술제 시상식이 열렸습니다. 시상식에서는 숭덕고 나여진 양을 비롯한 63명의 미술부분 수상자와 계원예술고 윤예진 양 등 영상부분 15팀에게 3천여만 원 상당의 장학금과 부상이 전달됐습니다. 청소년예술제 미술부분 수상작들은 kbc 광주방송 1층 로비에 전시되고 있습니다.
      2018-12-07
    • 제5회 kbc 전국 청소년예술제 시상식·전시회 열려
      제5회 kbc 전국 청소년 예술제 시상식이 열렸습니다. 시상식에서는 숭덕고 나여진 양을 비롯한 63명의 미술부분 수상자와 계원예술고 윤예진 양 등 영상부분 15팀에게 3천여만 원 상당의 장학금과 부상이 전달됐습니다. 청소년예술제 미술부분 수상작들은 kbc 광주방송 1층 로비에 전시되고 있습니다.
      2018-12-07
    • 남도국악원 송년 합동공연 '남도풍류'
      국립남도국악원이 송년 합동공연을 갖습니다. 오는 12일 남도국악원 진악당에서 열리는 송년 공연은 '남도풍류'를 주제로, 남도국악원과 전남도립국악단, 진도군립민속예술단의 합동 공연으로 꾸며집니다. 이들은 송년 합동공연을 통해 남도 음악의 맥을 잇고 남도전통예술의 다양성을 선보이는 등 남도 예술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알리고 있습니다.
      2018-12-07
    • 2018 광주독립영화제 개막...30여 편 무료 상영
      올해 7회 째를 맞는 광주독립영화제가 오늘 저녁 개막합니다. 잠시 뒤 7시 반 개막하는 2018 광주독립영화제는 '무등에서 코뮌이란' 주제로 광주의 이야기를 담은 독립영화 31편을 무료로 선보입니다. 광주독립영화관에서 선보이는 이번 영화제는 오는 9일까지 계속됩니다.
      2018-12-07
    • kbc 다큐 전라별전, 2018 그리메상 우수작품상 수상
      KBC 광주방송이 제작한 로드다큐멘터리 '전라별전'이 한국방송촬영인협회가 주관하는 '2018 그리메상' 우수작품상을 수상했습니다. 한국방송촬영인협회는 KBS 신관홀에서 2018 그리메상 시상식을 열고, 전라도 정도 1000년을 맞아 KBC광주방송 유선욱 감독이 제작한 특집 다큐멘터리 '전라별전'이 지역 예술의 원형질을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했다고 평가해 우수작품상으로 시상했습니다.
      2018-12-07
    • kbc 다큐 전라별전, 2018 그리메상 우수작품상 수상
      KBC 광주방송이 제작한 로드다큐멘터리 '전라별전'이 한국방송촬영인협회가 주관하는 '2018 그리메상' 우수작품상을 수상했습니다. 한국방송촬영인협회는 KBS 신관홀에서 2018 그리메상 시상식을 열고, 전라도 정도 1000년을 맞아 KBC광주방송 유선욱 감독이 제작한 특집 다큐멘터리 '전라별전'이 지역 예술의 원형질을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했다고 평가해 우수작품상으로 시상했습니다.
      2018-12-07
    • [카드뉴스] 카폰에서 5G까지 '이동통신의 변화'
      #1. 우리나라에서 이동통신 서비스가 시작된 건 1984년 '카폰'이라고 하는 차량 전화였습니다. 당시 음성 통화만 가능했는데, 출시 가격이 약 400~500만 원으로 80년대 서울 일부 지역 전셋값과 비슷해 부의 상징이었죠. #2. 서울올림픽이 열렸던 1988년부터는 무전기같이 생긴 일명 '벽돌폰'이 보급됐는데, 무게가 약 700g이었고 '카폰'과 비슷한 가격이었습니다. 연락받을 전화번호를 전달하는 무선호출기 '삐삐'도 이때 보급됐습니다. #3. 1996년엔 1세대의 음성통화에
      2018-12-07
    • 반세기 만에 부활한 정율성 오페라 '망부운'
      【 앵커멘트 】 정율성 선생은 광주에서 태어나 중국 3대 음악가 반열에 오른 인물입니다. 정율성 선생이 만들었던 오페라 망부운이 광주 예술인들에 의해 반세기 만에 복원돼 큰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이준호 기자가 미리 만나봤습니다. 【 기자 】 남편을 기다리다 구름이 되어버린 공주의 슬픔이 비장한 아리아에 녹아 있습니다. 정율성 선생이 지난 1962년 선보인 오페라 망부운의 리허설 장면입니다. ▶ 인터뷰 : 박수연 / 망부운 공주 역 - "신분이 다른 두 사람이 서
      2018-12-06
    • 반세기 만에 부활한 정율성 오페라 '망부운'
      【 앵커멘트 】 정율성 선생은 광주에서 태어나 중국 3대 음악가 반열에 오른 인물입니다. 정율성 선생이 만들었던 오페라 망부운이 광주 예술인들에 의해 반세기 만에 복원돼 큰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이준호 기자가 미리 만나봤습니다. 【 기자 】 남편을 기다리다 구름이 되어버린 공주의 슬픔이 비장한 아리아에 녹아 있습니다. 정율성 선생이 지난 1962년 선보인 오페라 망부운의 리허설 장면입니다. ▶ 인터뷰 : 박수연 / 망부운 공주 역 - "신분이 다른 두 사람이 서
      2018-12-06
    • 반세기 만에 부활한 정율성 오페라 '망부운'
      【 앵커멘트 】 정율성 선생은 광주에서 태어나 중국 3대 음악가 반열에 오른 인물인데요. 정율성 선생이 만들었던 오페라 '망부운'이 광주 예술인들에 의해 반세기 만에 복원됐습니다. 이준호 기잡니다. 【 기자 】 남편을 기다리다 구름이 되어버린 공주의 슬픔이 비장한 아리아에 녹아 있습니다. 정율성 선생이 지난 1962년 선보인 오페라 망부운의 리허설 장면입니다. ▶ 인터뷰 : 박수연 / 망부운 공주 역 - "신분이 다른 두 사람이 서로 만나 사랑을 이루고 근데 그 사
      2018-12-06
    • 애물단지 전락..아로니아 농가의 눈물
      【 앵커멘트 】 고소득 작물로 인기를 끌었던 아로니아가 요즘 농민들에게 애물단지로 전락했습니다. 수입산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데다, 과잉 생산까지 겹치면서 농사를 포기하는 사태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이준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장성에서 아로니아 농사를 하고 있는 이철승 씨는 최근 폐농을 결정했습니다. 지난 4년 동안 애써 키운 과수 나무가 뿌리째 뽑힌 모습을 보자 억장이 무너집니다. ▶ 인터뷰 : 이철승 / 아로니아 재배 포기 농민 - "자식보다 귀하게
      2018-12-06
    • 애물단지 전락..아로니아 농가의 눈물
      【 앵커멘트 】 고소득 작물로 인기를 끌었던 아로니아가 요즘 농민들에게 애물단지로 전락했습니다. 수입산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데다, 과잉 생산까지 겹치면서 농사를 포기하는 사태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이준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장성에서 아로니아 농사를 하고 있는 이철승 씨는 최근 폐농을 결정했습니다. 지난 4년 동안 애써 키운 과수 나무가 뿌리째 뽑힌 모습을 보자 억장이 무너집니다. ▶ 인터뷰 : 이철승 / 아로니아 재배 포기 농민 - "자식보다 귀하게
      2018-12-06
    • 애물단지 전락..아로니아 농가의 눈물
      【 앵커멘트 】 고소득 작물로 인기를 끌었던 아로니아가 요즘 농민들에게 애물단지로 전락했습니다. 수입산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데다, 과잉 생산까지 겹치면서 농사를 포기하는 사태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이준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장성에서 아로니아 농사를 하고 있는 이철승 씨는 최근 폐농을 결정했습니다. 지난 4년 동안 애써 키운 과수 나무가 뿌리째 뽑힌 모습을 보자 억장이 무너집니다. ▶ 인터뷰 : 이철승 / 아로니아 재배 포기 농민 - "자식보다 귀하게
      2018-12-06
    • GS칼텍스, 여수 벽화골목에 초대형 벽화 완성
      GS칼텍스 역사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린이들이 여수 벽화골목에 초대형 벽화를 완성했습니다. 이번 벽화는 지난해와 올해 400명의 어린이들이 참여해 세종대왕과 이순신 장군 등 위인 4명의 얼굴을 소형 타일을 붙여 만든 가로 14m, 세로 10m 크기의 초대형 작품입니다. GS칼텍스는 해마다 지역 어린이 300여명을 대상으로 유적 50곳을 답사하는 역사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해 오고 있습니다.
      2018-12-06
    • 2018 광주비엔날레 관람객 70%가 '만족'
      올해 광주비엔날레를 찾은 관람객 10명 중 7명이 만족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광주비엔날레 재단이 올해 행사에 방문한 19세 이상 성인 관람객 1,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관람 만족도가 70.4%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전시 만족도가 74%로, 비엔날레 본 전시관 만족도 69%보다 높았습니다.
      2018-12-06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