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값폭락

    날짜선택
    • “수확기 산지 ‘쌀값 폭락’ 막아라!”..농식품부, 산지유통업체 역할 당부
      5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전라북도 부안군 소재 공공비축미 매입 현장을 방문하고, 산지유통업체 등 관계자들을 만나 지난 11월 8일과 29일 발표한 정부의 쌀값 안정 대책을 설명하고, 적정 수준의 쌀값 유지를 위한 현장의 적극적인 역할을 당부했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11월 8일 ① 현 상황 하 공매 미실시, ② 공공비축 산물벼 전량 인수, ③ 정부양곡 40만 톤 사료용 처분, ④ 미곡종합처리장(RPC) 기여도 평가 시 조곡 거래 인정 등을 발표한데 이어 11월 29일 민간재고 5만 톤 추가 매입해 식량 원조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2023-12-05
    • [르포]'생산비는 오르고 쌀값은 떨어지고' 깊어지는 농가 한숨
      【 앵커멘트 】 쌀값이 40여 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10월 수확기를 앞둔 농민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특히, 올해는 비료값과 면세유 가격 등 생산 단가도 크게 올라 수확을 해도 건질게 없다는 한숨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박성호 기자가 농민들을 만나봤습니다. 【 기자 】 영광에서 10ha 규모의 논농사를 짓고 있는 이문형씨. 들쑥날쑥한 날씨 속에 온갖 고생을 겪고 키운 결실이 노랗게 익어가고 있지만 마음이 무겁기만 합니다. 지난해 5만 4천원 선이었던 쌀값이 올해는 4만 7천원까지, 45년만에 가장 큰
      2022-10-03
    • [와이드이슈]쌀값만 폭락..대책은?
      -쌀 20kg기준, 1년 새 24.8% 폭락 2021년 9월 5만 4,758원 →2022년 4만 1,185원 -비룟값·유륫값·인건비 급등 속 쌀값만 25% 폭락..농민 소득, 올해만 3조 원 감소 -쌀 가격 국가가 결정하는 시스템..물가 안정 내세워 정부가 가격 폭락 일조 -연간 1인당 쌀 60kg 이하 소비..가격으로 12만 3천 원 정도, 일용직 하루 일당 수준 -시장 격리 기준, 법으로 의무화 필요 -정부, 시장 격리 기준·시기(10월 15일 이전)·물량&m
      2022-09-16
    • 농협 창고에 쌓여가는 쌀..재고량 10년내 최고치
      농협 창고에 쌓여가고 있는 재고 쌀이 최근 10년 내 최고 수준으로 많아지고 있습니다.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전남 나주화순)이 농협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농협 쌀 재고는 31만 3천 톤으로 지난해보다 103% 증가했습니다. 이는 최근 10년 내 최고 수준입니다. 지역별로는 전남이 8만 9천 톤으로 가장 많았고, 전북 6만 6천 톤, 충남 6만 톤, 경북 4만 톤, 경기 2만 6천 톤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올해 정부는 3차례에 걸쳐 37만 톤의 쌀을 시장격리했지만 재고 과잉으로 쌀값 하락을 막
      2022-09-16
    • 쌀값 45년 만에 최대 폭락..개정안 무더기 발의
      【 앵커멘트 】 그 어느 때보다 풍성해야 할 한가위지만 45년 만에 최대로 폭락한 쌀값으로 농민들이 시름하고 있습니다. 초과 생산량을 정부가 제때 매입하지 않았기 때문인데, 국회에선 이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법안들이 발의됐습니다. 보도에 이상환 기잡니다. 【 기자 】 지난해 8월 5만 3천 원 수준이던 20kg 쌀값은 최근 4만 원대로 크게 떨어졌습니다. 45년 만에 가장 많이 떨어진 건데, 이에 따른 쌀 재고량도 지난해보다 5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국회에서는 이런 쌀값 폭락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2022-09-09
    • [와이드이슈]추석 정치권 화두는?
      - 호남 지역민, 대선·지방선거 패배 실망 이후 출범한 '이재명 호'가 이기는 민주당을 만들어낼지 관심. - 현역의원 아닌 원외 전문가 최고위원 발탁은 호남 정치에 대한 경고. 후보 거론 인사 모두 이재명 캠프 인사, 인력풀 한계 드러내. 지명 당일 철회 난맥상 비판 피할 수 없어 - 새 대표 체제 출발. 어려운 민생 해결해야 하지만 집권여당의 사정정국에는 강하게 맞설 것. - 이재명 사법 리스크 대응하다 보니 여당에 대한 공세 이어갈 수밖에 없고 국민들만 힘들게 돼. -尹정부·국민의힘, 민주화 이후
      2022-09-08
    • 이재명,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참 비정한 예산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정부의 내년도 예산안에 대해 "참 비정한 예산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 대표는 오늘(3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지금 이렇게 민생이 어려운데 이렇게까지 하나라는 생각이 든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서민들의 주거를 해결하기 위한 영구임대주택, 임대주택 관련 예산을 5조 6천억 원이나 삭감했다"며 "주거난을 겪는 안타까운 서민들에 대해서 예산을 늘려가지는 못할망정 정말 상상하기 어려울 규모로 삭감한 것이 도저히 이해가 안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대표는 지역화폐 지원, 청년과
      2022-08-31
    • 쌀값 폭락...농민들, 정부·지자체 대책 촉구
      【 앵커멘트 】 쌀값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농민들이 올해 햅쌀 수매 가격도 떨어지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습니다. 공공비축량 확대와 시장 격리 등 정부와 지자체에 대책을 촉구했습니다. 정지용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무안의 한 농협 창곱니다. 쌀을 담은 포대가 차곡차곡 쌓여 있습니다. 지난해 이맘때와 완전 다른 모습니다. ▶ 인터뷰 : 박근남 / 무안 삼향농협DSC 소장 - "지난해에는 재고가 하나도 없었는데, 올해는 3분의 2 정도 창고에 꽉 차 있습니다." 지난해 수매량은 늘고 소비는 둔화되면서 고스란히 재고로
      2022-07-19
    • 광주·전남 농민단체 "쌀값 안정 대책 마련해야"
      광주·전남 농민단체들이 정부의 쌀값 안정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전국농민회총연맹 광주전남연맹과 전국쌀생산자협회 전남본부 등 8개 농민단체는 오늘(19일) 전남도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재 쌀값은 지난해 같은 때와 비교해 20% 떨어지면서 20년 전 가격으로 후퇴했다"며 "정부가 국민 생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쌀값을 공공요금으로 인식하고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쌀값 폭락은 단기적으로 시장격리 시기를 늦춘 것과 시장격리 가격을 최저가 경매방식으로 매겼기 때문"이라며 "쌀값에 대한 정부의 역
      2022-07-19
    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