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소

    날짜선택
    • 울산발전소 수색 종료...매몰자 7명 모두 숨져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의 마지막 실종자도 14일 끝내 주검으로 돌아왔습니다. 사고 발생 8일 만으로, 사고 매몰자 7명 중 생존자는 없었습니다. 소방 당국은 이날 오후 9시 55분쯤 사고 현장인 보일러 타워 5호기 잔해에서 김모(62) 씨의 시신을 수습했다고 밝혔습니다. 구조대는 이날 중장비로 잔해 상부를 걷어내고 내부를 확인하는 수색 작업을 반복하던 중 오후 8시 50분쯤 김 씨의 위치를 확인했습니다. 이후 주변 철 구조물을 잘라내며 접근한 지 1시간여 만에 김 씨의 시신을 잔해 외부로 옮겼습니다. 김 씨는
      2025-11-14
    • 울산발전소 마지막 실종자 위치 확인...당국 구조 중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매몰자 가운데 마지막 실종자의 위치가 14일 확인됐습니다. 지난 6일 사고가 발생한 지 8일 만입니다. 소방 당국은 이날 오후 8시 49분께 사고 현장인 보일러 타워 5호기 잔해 속에서 실종자를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소방 당국은 장비를 동원해 실종자 주변으로 얽혀 있는 철근 구조물 등을 잘라가며 진입 공간을 확보해 가고 있습니다. 지난 6일 오후 2시 2분께 울산화력발전소에서는 가로 25m, 세로 15.5m, 높이 63m 규모 보일러 타워 5호기가 붕괴해 당시 현장에 있던 작업자 9명 중 7명이 매
      2025-11-14
    • [기획②] "옛 발전소 폐기물 처리 안 하고 새 발전소만?" 주민 반발
      【 앵커멘트 】 한국동서발전이 여수의 옛 화력발전소 부지에 일반 플라스틱을 대량 매립하는 공법으로 LNG 발전소를 짓기로 했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인근 주민들이 옛 화력발전소의 폐기물 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상황에서 새 발전소 짓기에만 몰두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나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박성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3백여 명이 모여 살고 있는 여수 옛 호남발전소 인근 마을에 혁신위원회가 구성됐습니다. 48년간 화력발전소로 인해 수많은 피해를 참아왔는데, 폐쇄 4년 만에 또다시 LNG발전소를 짓는다
      2025-06-12
    • 분산에너지 특별법 시행 앞두고 전력자립률 최하위 광주는 '막막'
      【 앵커멘트 】 다음 달 14일 전력 소비지역 단위로 전력시스템을 분산시키는 내용의 분산에너지 특별법이 시행됩니다. 전력자립률이 낮은 광주시에게는 불리한 상황인데요, 아직 시행령조차 마련되지 않아 막막함이 커지고 있습니다. 정경원 기잡니다. 【 기자 】 지난 2022년 기준 광주의 전력자립률은 8%에 불과합니다. 3%인 대전에 이어 전국 최하위 수준입니다. 해안을 낀 지자체들이 원자력발전 등을 통해 대규모 발전을 하는 데 비해, 내륙 지역은 발전량이 미미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다음달 14일, 전력을 수요지역이나
      2024-05-27
    • 수소발전시장 민간기업 참여 활발해진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오늘(6일) 에스케이에너지㈜와 엘에스일렉트릭㈜, 대한그린파트너스㈜, 삼천리자산운용㈜ 등 4개 사업자의 수소발전 관련 발전소 건설 및 운영 신설회사(에스엘에너지솔루션㈜) 설립을 승인했습니다. 공정위는 지난 6월 21일 기업결합 신고를 접수하여 심사한 결과, 해당 기업결합이 경쟁제한성이 없다고 판단하여 심사 결과를 회신(2023년 7월 5일)하였다고 이날 밝혔습니다. 신설되는 에스엘에너지솔루션의 지분 구조를 살펴보면 에스케이에너지와 엘에스일렉트릭이 각각 29.9%로 가장 높고, 대한그린파트너스와 삼천리자산운용이 각각
      2023-07-06
    • 태안화력발전소 폭발음에 화재..인명피해 없어
      태안화력발전소에서 폭발음과 함께 불이 나 1시간 만에 불길이 잡혔습니다. 오늘(8일) 아침 8시 50분쯤 충남 태안군 원북면의 태안화력발전소에서 폭발음과 함께 화재가 발생해 소방당국이 1시간 만에 불길을 잡았습니다. 화재 당시 현장에 작업자가 없었고, 인근에 있던 12명이 모두 대피해 다행히 인명피해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태안화력발전소 측은 전기를 생산하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설비의 상층부에서 불이 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경찰과 소방당국은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2023-01-08
    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