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정식 개관을 앞둔 아시아문화전당을 점검해보는 순섭니다. 오늘은 세 번째로 사업과 인사 등 모든 의사결정이 문화체육관광부에 쏠려있는 행태를 보도합니다.
문화중심도시사업 추진 10년 동안 광주지역은 주요 의사결과정에서 소외되기 일쑤였습니다.
문체부는 지역과 협의 없이 전당개관 시기를 몇 차례 연기해 논란이 일었는데 이번에 전당연구개발을 맡은 아시아 문화원장과 이사선임 과정에서도 광주시는 철저히 소외되고 있습니다.
김효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최근 발표된 아시아문화원 이사회는
한명을 제외하곤 대부분 서울지역인사로 채워졌습니다.
수개월 동안 지역문화계나 시민사회와 간단한 협의나 의견수렴 절차 하나 없었습니다.
콘텐츠 연구개발 수장인 문화원장 선임과정도
전혀 공개되지 않고 있습니다.
지역문화단체들이 문화원장은 능력을 검증할 수 있는 공개채용방식을 요구했지만
문체부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했습니다.
▶ 인터뷰 : 최금동 / 문화진흥협회 대표
- "(아시아문화원장 선임에) 대해 지난 3월부터 광주지역 여러 단체들이 성명서와 기자회견을 통해 투명하고 공정하게 공개적으로 (아시아문화원장을) 선임해야한다고 요구를 했으나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문체부의 소통부재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사업을 실무에서 총괄하는 추진단 축소과정에서도 이미 지적된 사항입니다.
문체부는 지난 수년 동안 전당의 개관시기를 수차례 연기하면서도 지역과 제대로 된 협의 한번 없었습니다.
CG>
최근엔 전당은 영문이니셜도
당초 asian culture complex에서
규모가 더 작은 center로 슬그머니 바꿨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소통을 요구해왔던
지역시민사회는 문체부에 더 이상 기대할 것이 없다며 무관심에 절망감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허달용 / 광주민족미술인협회 회장
- "그렇게 10년 동안 (문체부와 추진단 등에) 많은 얘기와 제안을 했지만 수용되지 않아서 벽에다 대고 얘기하는 것처럼 느꼈습니다."
이같은 소통부족이 계속될 경우
전당은 광주도심의 고립된 ‘콘크리트 섬’
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주민들과 기본적인 소통과 교류 없이 어떻게
아시아를 아우르는 ‘문화중심도시’를
만들어나갈지 지역민들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KBC김효성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