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5.18 당시 계엄군과 시민군의 총격전이 벌어졌던 옛 전남도청 건물의 리모델링 공사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아시아문화전당추진단 측이 옛 도청 건물 곳곳에 남아 있을 총탄 흔적을 복원하지 않고 훼손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겁니다.
어찌된 일인지 박성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옛 전남도청 민원실 2층 화장실.
보기에 평범해보이는 이 곳은 지난 1980년 5월, 시민군이 계엄군을 피해 몸을 숨겼던 장소였습니다.
당시 계엄군들이 들이닥쳐 난사한 총탄은 수많은 시민군들의 목숨을 빼앗았고, 화장실 한 쪽 벽면에 탄흔으로 남았습니다.
5.18 당시 국가 폭력을 증명하는 중요 자료지만 2년 전 리모델링 공사 때 훼손돼버려 당시 시민사회의 거센 비판이 일었습니다.
▶인터뷰 : 김공휴 / 5.18 구속부상자회 부회장
- "유독 이 벽만 많은 두께를, 총알을 찾을 수 없을 만큼 3~4cm 이상의 두께를 아예 벽을 까내서 흔적 지우기 위한 그런 것으로 밖에 볼 수 없게끔 (했습니다)"
그런데 2년 만에 탄흔 훼손을 두고 또다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옛 전남도청 본관 외벽이 별다른 조사 없이
새롭게 도색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본관 건물 외벽은 5월 당시 총격전이 벌어져 탄흔이 있을 가능성이 높지만 수십 년이 흐르고, 도청으로 사용 당시 보수 공사도 여러 번 있어 탄흔을 찾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한 상탭니다.
하지만 아문단 측이 전문가를 한 번도 부르지 않고 공사 업체에만 '탄흔을 찾아보라' 지시한 것은 사실상 탄흔 보전에 대한 의지가 없었다는 주장이 제기된 겁니다.
▶ 싱크 : 아문단 관계자
- "문화재 면허를 가진 업체가 와서 공사를 했기 때문에 공사하는 과정에서 그런 걸 발견할 수 있는 그 정도의 안목은 가지고 있지 않았을까 생각했죠."
아문단 측은 외벽에 칠만 했을 뿐, 표면 훼손은 없어 지금이라도 탄흔 조사가 가능하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탄흔 훼손 논란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c 박성호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