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광주지역 전체 중학교 1학년이 올 2학기에 자유학기제를 시행합니다.
한 학기 동안 시험이 사라지고 참여형 수업과 진로탐색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채워지게 되는데요. 전면 시행을 앞두고 일선 교사와 학부모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임소영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중1 자녀를 둔 학부모 김 모 씨는 다음 주 개학을 앞두고 고민이 큽니다.
자유학기제 때문인데 시험이 없는 이번 학기 동안 학원을 한 두 곳 더 보내야할지 걱정입니다.
▶ 싱크 : 중1 학부모
- "(많은 엄마들이) 부족한 학과를 보충하는 시간으로 잡는다는 거에요. 다른 아이들을 앞서가기 위해서 더 보충을 하는 시간으로 생각을 하고 있죠"
일선 교사들의 고민도 비슷합니다.
학생들이 시험의 부담에서 벗어난다는 점에선 긍정적이지만 수업에 대한 집중도가 급격히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겁니다.
교사들도 대부분 경험이 없는데다 진로체험 등 프로그램의 질도 자신하지 못하는 등 혼란스러워하고 있습니다.
▶ 싱크 : 중1 담당 교사(음성변조)
- "(2학기에) 시험을 아예 안 보잖아요. 수업시간에 어떻게 할까 이 아이들을 (수업에) 끌어들이기 위해 교사들도 연구를 많이 해야겠지만 애들도 얼마다 힘들까 그런 면에서 걱정이 많이 됩니다."
결국 각 학교마다 특화된 자유학기 교육과정의 틀을 얼마나 빠른 시간 안에 잡느냐가 관건이 될 전망입니다.
▶ 인터뷰 : 국광윤 / 광주동신중 자유학기 연구담당
- "실제 저희 학교에서도 (자유학기 연구학교) 시행 초기에 무엇을 아이들에게 채워넣을 것인가 그것을 쭉 연구해왔는데요 그 점이 가장 어려웠죠."
내년 전국 시행에 앞서 한 해 먼저 시작되는
광주의 자유학기제, 성적 하락과 수업 집중도 하락이라는 우려가 현실화될 경우 정착까지
상당한 진통이 예상됩니다. kbc 임소영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