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는 오늘(18일) 논평을 내고 "코로나19가 재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환자에게 병원비 부담을 전가하고, 코로나19 생활지원비 대상을 줄이는 정책을 펴며 사실상 의료취약계층을 사지로 내몬 채 방치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코로나19 증상이 있는데도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치료를 받지 못하거나 검사를 하지 않는 사람들이 늘어날수록, 감염병은 지금보다 빠르게 확산하게 될 것"이라며 "환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비과학적인 방역 대책"을 전면 수정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정부는 지난 11일부터 코로나19 확진자에게 병·의원 외래진료비 가운데 본인 부담금(의원급·초진 기준 5천∼6천 원)을 부담하도록 했습니다.
약값비의 30%도 환자 본인이 부담하도록 정책을 바꿨습니다.
또 소득과 관계없이 코로나19 격리자 모두에게 주던 생활지원금을 소득 하위 절반(기준 중위소득의 100% 이하)에게만 지급하고, 코로나19로 격리·입원한 근로자에게 유급휴가를 제공한 모든 중소기업에 주던 유급휴가비(1일 4만 5천 원·최대 5일) 역시 종사자 수 30인 미만인 기업에만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참여연대는 "(코로나19 확진자) 더블링 현상이 지속되고, 주말 내 확진자 수가 4만 명을 넘어선 상황에서 정부는 실체 없는 '과학 방역'만을 내세우며 이렇다 할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확진자가 다시금 늘어나는 현 상황에서 의료인력 확보와 병상 동원 관련 그 어떤 구체적인 계획도 제시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