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찬반 논란에도 전남 시군들이 앞다퉈 케이블카
사업을 강행하고 있습니다.
민자 유치를 내걸고 있지만 주차장과 도로 등의
기반 조성을 위해서는 수십억 원의 예산을 부담해야하는데다 사업성이 있는지도 논란거립니다.
이동근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3년 넘게 찬반 공방을 이어오고 있는 목포 해상 케이블카 사업이 사실상 카운트다운에 들어갔습니다.
최근 사업자 공모에 2곳의 민간업체가 신청했고 이달까지 최종 사업자를 선정해 내년부터 사업을 착수합니다
▶ 인터뷰 : 조건형 / 목포시 관광과장
- "주차장 문제는 토지는 시가 매입하고 시공은 민간 사업자가 하도록 하겠습니다. 연계 관광 인프라가 구축되서 많은 분들이 올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해남과 진도군도 명량대첩 전승지인 울돌목에 해상 케이블 설치 논의를 마쳤습니다.
민간기업의 투자 제안을 토대로 해남 우수영과
진도 타워를 잇는 1km 구간에 해상 케이블카와
리프트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업체의 적자를 지자체가 채워야 하는 부담이
없기 때문에 예산문제는 없다지만 사전에 주민 여론 수렴이나 사업성 검토 등의 절차없이 강행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됩니다.
▶ 인터뷰(☎) : 진도군 관계자
- "사업성 평가는 (업체가) 자체적으로 해요,시간당 술술 간다해도 인허가 부분만 1년이 걸리니까 내년부터 차근차근 하는 게 맞겠죠"
월출산권인 영암과 지리산권인 구례도 무산됐던 케이블카 사업을 재추진기로 하고 정부의 인허가와 민자유치 방안 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도로와 주차장 등 편의시설에 수십억의 예산을 들여야 하고 이용객들의 체류형 관광을 유도할 연계책이 미흡해 자칫 업체들 배만 불리는 속빈 강정이 될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kbc 이동근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