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일자리 운영 어떻게?

작성 : 2019-01-31 18:48:54
Video Player is loading.
Current Time 0:00
Duration 0:00
Loaded: 0%
Stream Type LIVE
Remaining Time 0:00
 
1x
    • Chapters
    • descriptions off, selected
    • subtitles off, selected

      【 앵커멘트 】
      광주형 일자리는 기업의 임금 부담을 줄여 해외로 떠나는 공장을 붙잡고 국내에 일자리를 더 만들겠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광주형일자리 모델로 만들어지는 자동차 생산 법인이 앞으로 어떻게 운영이 되는지, 이형길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 기자 】
      광주광역시와 현대차는 자기자본 2,800억원 규모의 자동차 생산법인을 만듭니다.

      CG
      광주시가 21%, 590억원을 부담하고, 현대차는 19% 530억원을 투자합니다.

      나머지 1,680억원을 투자할 일반 주주를 모집하고 4,200억원을 빌려서 총 7천억원짜리 회사를 만든다는 계획입니다.//

      이 돈으로 2021년 하반기까지 공장을 만들고 경형SUV 10만대를 생산할 예정입니다.

      직접 고용 인원만 천명, 주변 부품공장 등 간접고용까지 더하면 최대 만 2천개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기대됩니다.

      ▶ 인터뷰 : 이원희 / 현대자동차 대표이사
      - "새로운 시도들을 통해 지역 사회는 청년 고용을 확대할 수 있고 기업은 경쟁력을 확보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임금은 초임기준으로 주 44시간 근무 연봉 3,500만원 수준으로 결정됐습니다.

      대신 정부와 지자체가 직원 복지를 지원해줘 부족한 임금을 보충해줍니다.

      ▶ 인터뷰 : 이병훈 / 광주광역시시 문화부시장
      - "아파트라든가 유치원, 체육시설, 문화시설을 통해 실질 임금 상승 효과를 갖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신설법인에는 투자규모의 10%를 보조금으로 지급하고 취득세와 재산세를 75% 감면해 주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넘어야할 과제도 많습니다.

      당장 민주노총의 반발을 넘어서야하고, 지방정부가 기업을 경영하는 것에 대한 우려도 지워야 합니다.

      ▶ 스탠딩 : 이형길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광주형 일자리 모델이 성공한다면 지역 뿐 아니라 국내 산업계 전반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kbc 이형길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

      1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