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날짜선택
    • 광주 근대문화유산 '굿모닝 양림' 13~15일 열려
      광주 근대문화유산을 엿볼 수 있는 가을 축제 '굿모닝 양림'이 남구 양림동에서 펼쳐집니다. 오는 13일부터 사흘간 '버들피리 소리 들려오는 가을 이야기'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에선 안도현 시인의 인문학 강좌를 비롯해, 양림동의 역사와 문화, 인물, 근대유산의 가치를 들여다볼 수 있는 문화 공연이 진행됩니다.
      2017-10-10
    • '허위광고' 불법과외·학원, 매년 1천 건↑ 적발
      광주·전남 지역에서 불법으로 과외를 하거나 학원을 운영하다 적발된 건수가 해마다 천 건을 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교육부의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2014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광주와 전남 지역의 개인과외교습자·학원들이 허위과대 광고나, 옥외가격표시 미부착 등 불법 행위를 해 적발된 건수는 4천 699건이었습니다. 하지만 10곳 중 7곳은 벌점부과나 시정명령 등 경징계에 그쳤습니다. kbc 광주방송 정의진 기자
      2017-10-10
    • 광주 취학 예정 아동 필수예방 접종률, 전국 최저
      광주 지역에서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아동의 필수 예방 접종률이 전국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의당 윤소하 의원이 질병관리본부의 취학아동 예방접종 확인사업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광주 지역 취학예정 아동의 일본뇌염 등 필수예방 완전 접종률이 전국에서 가장 낮은 84.9%였습니다. 전남은 전국 평균 88.9%와 비슷한 수준인 88.8%를 보였습니다. kbc 광주방송 정의진 기자
      2017-10-10
    • '허위광고' 불법과외·학원, 매년 1천 건↑ 적발
      광주·전남 지역에서 불법으로 과외를 하거나 학원을 운영하다 적발된 건수가 해마다 천 건을 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교육부의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2014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광주와 전남 지역의 개인과외교습자·학원들이 허위과대 광고나, 옥외가격표시 미부착 등 불법 행위를 해 적발된 건수는 4천 699건이었습니다. 하지만 10곳 중 7곳은 벌점부과나 시정명령 등 경징계에 그쳤습니다.
      2017-10-10
    • 스스로 목숨 끊는 광주·전남 학생, 5년 간 62명
      광주·전남 지역에서 최근 5년 간 스스로 목숨을 끊은 학생이 60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유한국당 곽상도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 2012년부터 5년 간 광주·전남 지역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학생은 모두 62명으로, 이 중 고등학생이 42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전국적으로는 581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가정불화와 우울증, 성적비관 등이 원인이었습니다.
      2017-10-10
    • 스스로 목숨 끊는 광주·전남 학생, 5년 간 62명
      광주·전남 지역에서 최근 5년 간 스스로 목숨을 끊은 학생이 60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유한국당 곽상도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 2012년부터 5년 간 광주·전남 지역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학생은 모두 62명으로, 이 중 고등학생이 42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전국적으로는 581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가정불화와 우울증, 성적비관 등이 원인이었습니다.
      2017-10-10
    • <10/10(화) 모닝730 타이틀 + 주요뉴스>
      1.(이번 주 국정감사 돌입)...지역 이슈는?) 국회가 이번 주부터 본격적인 국정감사에 돌입합니다.광주전남 주요 기관들에 대한 국감도 진행되는 가운데,지방재정 위기,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활성화 등이 주요 이슈가 될 전망입니다. 2.(추석 연휴)..교통사고 등 사건*사고 잇따라) 추석 연휴 동안 부부싸움이 살인사건으로 이어지거나 바다에 빠진 자식을 구하려다 아버지가 숨지는 등 사건*사고가 잇따랐습니다. 370여건의 교통사고로 15명이 숨지고, 530여명이 다치기도 했습니다. 3.(DJ 노벨상 취소 모의 의혹
      2017-10-10
    • 광주 충장로서 청소년 위한 거리상담 열려
      청소년들의 꿈과 고민을 함께 얘기해보는'학교밖 청소년'길거리 상담행사가 광주 충장로에서 열렸습니다. 광주교육해바라기는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와 진로 등으로 고민하는 청소년 백여 명을 대상으로 거리 상담을 벌였습니다. "광주교육, 변화의 길을 찾다"를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거리상담은 올해 말까지 매주 일요일 진행될 예정입니다.
      2017-10-08
    • 광주전남 영화관, 장애인 전용석 설치 미미
      광주전남지역 영화관 관람석 중 장애인 전용은 1.54%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의당 송기석 의원이 문화체육관광부에게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광주 영화관 10곳의 관람석,만 2638개 중 장애인 전용은 195개로 1.54%에 그쳤습니다. 전남지역 영화관 9 곳의 관람석 8338개 중 장애인 전용은 2.31%인 193개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017-10-08
    • 광주*전남 학업중단 고교생 '1천6백 명'
      지난해 광주*전남 고등학생 천6백 명이 학업을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 교문위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학업을 중단한 광주와 전남 고등학생은 각각 8백16명, 8백80명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학업 중단 이유로는 '학교 부적응' 등이 광주 전남 각각 전체의 10.9%와 18.8%로 가장 많았고, 해외 출국과 질병 등의 순이었습니다.
      2017-10-08
    • 차도*인도 구분 없는 '생활도로' 연간 1,200명 숨져
      차도와 인도 구분이 없는 생활도로의 교통사고로 해마다 천 2백명이 숨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의당 최경환 의원이 국회입법조사처에 의뢰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3∼2016년 전체 보행자 사고의 74 % 인 20만 2천 161건이 차도와 인도 구분이 없는 생활도로에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보행자 사망 중 생활도로 사망자는 해마다 천 2백여명에 이른 것으로 집계되고 있어 개선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2017-10-08
    • 해양쓰레기 전남 전국 최고...3년간 5만 4천 7백여 톤
      전국에서 가장 많은 해양쓰레기가 수거되고 있는 지역은 전남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의당 황주홍 의원이 해양수산부에게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3년 동안 전남해양에서 수거된 쓰레기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5만 4천 7백여 톤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해마다 7만 2천 여톤의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고 있고, 처리비용도 연간 527억원이 소요되고 있습니다.
      2017-10-08
    • 전남도 글꼴 '푸른 전남체' 한컴오피스에 공급
      전남도가 자체 개발한 글꼴인 '푸른 전남체' 확산에 나섰습니다. 전남도는 최근 '한글과 컴퓨터'와 업무협약을 맺고, 자체 개발한 글꼴인 푸른 전남체를 한컴오피스에 공급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국내 대표 문서작성 소프트웨어인 한글오피스 글꼴 플랫폼에 푸른 전남체가 탑재됨에 따라 '푸른 전남체'가 크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017-10-08
    • 광주전남북 내년 전라도 방문의 해 맞아 관광활성화 추진
      내년 전라도 방문의 해를 앞두고 광주전남 시도와 전라북도가 관광공동마케팅에 나섭니다. 광주전남북 3개 시도는 다음달 10일 서울에서 2018 전라도 방문의 해 선포식을 시작으로 부산,대구 등 5개 시도를 릴레이 순회홍보를 통해 전국적인 분위기 조성에 나설 예정입니다. 이와함께 미디어 광고와 방문의 해 홈페이지를 개설해 이벤트와 관광정보도 제공하고,전라도 대표 관광지 100곳을 선정해 다양한 투어를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2017-10-08
    • 광주디자인비엔날레 개막 한 달..13만 명 돌파
      2017 광주 디자인비엔날레가 개막 한 달 만에 관람객 13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광주 디자인센터는 추석 연휴 디자인비엔날레 전시장에 귀성객을 포함해 가족 단위 관람객의 방문이 크게 늘면서 개막 후 한 달 동안 13만 천 명이 다녀갔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디자인비엔날레는 '미래들'이란 주제로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와 기획전시가 광주비엔날레 전시관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등에서 오는 23일까지 계속됩니다.
      2017-10-08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