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김

    날짜선택
    • 버려졌던 물김, 이제는 가공 물량 확보 걱정
      【 앵커멘트 】 올해 초 물김이 과잉 생산되면서 폐기 처분 사태를 빚었는데요. 불과 한 달 만에 전혀 다른 상황이 벌이지고 있습니다. 바다 수온이 급격히 낮아지면서 물김 생산량이 줄면서 부족사태를 빚고 있습니다. 고익수 기자가 물김 위판현장을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지주식 김을 생산하는 신안의 물김 위판장. 경매를 지켜보는 양식어민들의 표정이 밝지 않습니다. 지난달 중순 이후 바닷물 온도가 차가워지고, 고르지 못한 날씨가 계속되면서 생산량이 60% 이상 급감했기 때문입니다. 품질도 떨어져 25만 원 안팎 하던 물
      2025-03-04
    • 서삼석 "물김 폐기량 5,690t..100억 원 이상 버려져"
      서삼석 "물김 폐기량 5,690톤..100억 원 이상 버려져" '그들만의 리그', '싸움만 하는 국회', '일하지 않는 국회의원'. 대한민국 국회에 부정적인 이미지가 씌워진 배경에는 충분한 정보를 전달하지 못하는 언론, 관심을 두지 않는 유권자의 책임도 있습니다. 내 손으로 직접 뽑은 우리 지역구 국회의원, 우리 지역과 관련된 정책을 고민하는 국회의원들의 소식을 의정 활동을 중심으로 직접 전해 국회와 유권자 간의 소통을 돕고 오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편집자 주> 최근 해수온이 물김 양식에 적정 수준으
      2025-02-19
    • 진도군, 물김 폐기 지원금 5억 9천만 원 긴급 투입
      전남 진도군이 물김 가격 하락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김 양식 어민들을 위해 물김 폐기 지원금 5억 9천만 원을 긴급 투입합니다. 지원금은 과잉생산으로 위판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물김에 대해 포대당(120㎏) 최대 4만 원을 지급합니다. 진도 해역에서는 2024년 12월부터 갑작스러운 이상기온으로 수온이 평년보다 높고, 4,200㏊의 면허지 등이 추가되면서 물김 생산량이 급격히 늘었습니다. 더욱이 일본과 중국에서도 지난해보다 생산량이 증가하고 러시아, 태국 등으로의 수출량이 감소해 물김 가격의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폐기 물
      2025-02-14
    • '마른김 가격 고공행진 중인데..' 물김 가격 폭락에 폐기도 잇따라
      마른김 가격이 장당 145원 이상으로 고공행진하고 있으나 산지 물김은 지난달 6천톤이나 버려진 것으로 나타났습나다. 마른김 가격이 1년 전보다 30% 넘게 뛴 것과 달리 산지 물김 가격은 50% 넘게 폭락했습니다. 이달 김 생산량도 작년 동기보다 약 30% 증가할 것으로 예측돼 물김 폐기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수협중앙회에 따르면 지난달 전남·전북·경인·충남·부산의 산지위판장에서 폐기된 물김은 모두 5,989t으로 집계됐습니다. 대표적인 물김 산지인 전남에서
      2025-02-12
    • 고흥군, 불법 김 양식시설 행정대집행 나섰다
      전남 고흥군이 물김 가격 하락에 대응해 불법 양식시설에 대한 행정대집행에 나섰습니다. 11일 고흥군은 전남도와 고흥군수협, 한국김생산어민연합회 고흥지회와 협력해 전날부터 불법 김 양식 시설물을 정비했다고 밝혔습니다. 민관 기관·단체는 선박 130여 척을 동원해 나로도 해역(900㏊), 시산∼여수 해역(470㏊)에 걸쳐 있는 무면허 김 양식시설 6,850줄을 대상으로 행정대집행을 했습니다. 현행법상 김 양식시설은 면허를 받은 구역에만 설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작년 김값 상승으로 무면허 양식장이 확산하면
      2025-02-11
    • 물김 1,200t 버려져.."넘쳐나는 생산량에 양식 확대 탓"
      올해 물김 생산량이 25%나 늘면서 전남에서만 1,200t 넘게 버려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협중앙회 집계에 따르면 김 최대 산지인 전남에서 일부 지역은 경매에서 유찰돼 폐기되는 물김이 위판량의 10%에 가까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해 전국 위판액 1위 진도군 수협에서는 올해 들어 지난 17일까지 물김 폐기량이 1,010t으로 위판량 1만 2,564t의 8%에 이릅니다. 고흥군과 해남군에서도 최근 물김이 폐기되기 시작했습니다. 고흥에서는 49t이 폐기됐으며 해남에서는 167t이 버려졌습니다. 진도군수협은 언론과의 통
      2025-01-19
    • 모든 김은 목포로 통한다..매출·수출 1위 석권
      【 앵커멘트 】 한때 목화와 쌀, 소금 등 3백의 도시로 명성을 떨쳐졌던 목포가 이젠 검은 반도체로 불리우는 김의 도시로 이름을 높이고 있습니다. 진도와 신안 등 전남뿐 아니라 충남 등 서해안에서 생산되는 물김이 목포로 몰리면서 유통가공과 수출에서 선두를 질주하고 있습니다. 고익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목포의 마지막 산업단지인 대양산단입니다. 지난 2018년부터 경기도 등 외지에서 몰려든 김 가공공장이 지금은 16곳으로 늘어, 하나의 클러스터를 이루고 있습니다. 산단과 고속도로가 연결돼 있어 접근성이 좋습니다
      2025-01-10
    • 출발은 늦었지만 햇바디 품질, 가격 예상보다 좋아요
      【 앵커멘트 】 지난 9월까지 바닷물의 고수온이 이어지면서 김 채묘가 보름가량 늦어졌던 서남해 김 양식이 비교적 좋은 작황을 보이고 있습니다. 신품종 햇바디 1호가 품질좋은 곱창김 생산에 도움을 주면서 가격까지 높게 형성돼 어민들의 시름을 덜어주고 있습니다. 고익수 기자가 김 위판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신비의 바닷길로 널리 알려진 진도 회동항 선착장. 물 김을 한가득 실은 채취선들이 잇따라 입항해 위판에 나서면서 활기를 고 있습니다. 요즘 생산되는 김은 곱창김으로 불리는 잇바디 돌김. 생산 기간이 한 달도 채
      2024-12-08
    • 전남 김 생산액 8천억 돌파..전국 82% 차지
      전라남도의 김 생산액이 8천억 원을 돌파했습니다. 전남도에 따르면 올해 물김 총 생산량 40만 8천 톤, 금액으로는 8천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전도가 2,284억 원 어치를 생산해 가장 액수가 컸고, 고흥 2,162억 원, 완도 1,320억 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남의 김 생산액은 전국의 8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4-05-22
    • 전남 김 생산액 8천억 달성…수산물 단일 품목 '최초'
      전라남도가 2024년 산 물김 생산 종료 결과 생산량 40만 8천 톤, 생산액 8천억 원을 달성했다고 밝혔습니다. 수산물 단일 품목으로는 최초입니다. 물김 시군별 생산액은 진도 2,284억 원, 고흥 2,162억 원, 완도 1,320억 원 순입니다. 전국 생산량 50만 9천 톤 대비 80%, 전국 생산액 9,742억 원의 82%를 차지했습니다. 전년 대비 생산량은 1만 7천 톤 증가했으며, 생산액은 3,500억 원이상 늘었습니다. 생산액 증가의 가장 큰 요인은 유럽, 아프리카, 중동 등 122개국 김 수출 확대와 재고
      2024-05-22
    • 진도군 2024년 물김 위판고 2천284억원 전국 최고 기록
      진도군의 2024년 물김 위판액이 전국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진도군의 올해 김 생산량은 10만 4,378톤으로 지난해보다 10% 증가했고, 위판액도 2,284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98%나 늘어나 역대 최대 위판고를 기록하면서 고흥군을 제치고 1위를 되찾았습니다. 진도군은 지난해 김 재고가 소진된 가운데 수출증가로 가격이 크게 올랐고 안정적인 해황이 유지되면서 위판고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2024-05-09
    • 올해 전남 지역 물김 생산량↓, 금액은↑
      전남도내 올해 물김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줄었지만 생산액은 늘었습니다. 전라남도에 따르면 2023년 산 물김 생산량은 39만 톤으로 지난해보다 4만 톤(10%)이 줄어든 반면, 위판액은 4,442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360억 원(9%)이 늘었습니다. 생산액이 증가한 주 원인은 일본·중국 등 김 양식 작황 부진으로 물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K-푸드 열풍으로 우리나라 김 수출이 증가한 데다, 고품질 김 생산을 위한 김 육상채묘 시설 및 냉동망 보관시설, 우량 김 종자 보급사업 등을 추진한 것이 주효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
      2023-05-25
    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