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15일) 여론조사기관 입소스가 공개한 '세계 행복(GLOBAL HAPPINESS) 2023'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 행복 수준은 지난해와 동일하게 57%에 그쳤습니다.
조사 대상 국가 32개국 중 31위로, 32위는 50%를 기록한 헝가리였습니다.
입소스는 "모든 상황을 고려할 때 행복하세요?"라는 질문에 "매우 행복하다", "꽤 행복하다"고 답한 비율로 행복 수준을 측정했습니다.
그 결과 한국인 57%만이 행복하다 답했고, 43%는 "그다지 행복하지 않다" 또는 "전혀 행복하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32개국 평균 행복 수준인 73%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전 세계 공통으로 자녀와 배우자와의 관계가 가장 큰 행복감을 주는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한국인도 '자녀'(78%), '배우자와의 관계'(73%)에서 가장 큰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국가 경제 상황'(21%), '사회·정치 상황'(23%), '인생에 의미를 느낌'(34%), '물질적 부'(39%), '도움이 필요할 때 의지할 지인'(61%), '배우자나 애인이 생길 기대감'(21%)의 만족도는 최하위 수준이었습니다.
입소스는 한국을 비롯한 고소득 국가보다 남반구 국가들의 행복도가 더 높게 나왔다고 설명했습니다.
가장 행복 수준이 높은 국가는 중국(91%)이며 사우디아라비아(86%), 네덜란드(85%), 인도(84%), 브라질(83%)이 뒤를 이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