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광주비엔날레] 주제 전시 관람기 ⑤

    작성 : 2023-04-14 10:45:02
    네 번째 소주제 ‘행성의 시간들’…생태·환경 관심
    회화·영상·설치·조각·판화 등 지구촌 미술 ‘한눈에’
    굴껍데기·돌덩이·자갈·목재·물 등 자연재료 작품화
    작품 구상과 제작 과정, 메시지 엿보는 개념 미술
    “‘광주다운’ 임팩트 부족”…국제미술계 평가 관심
    제14회 광주비엔날레가 지난 4월 6일 개막했습니다. 오는 7월 9일까지 열리는 이번 전시회의 주제는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Soft and Weak like water)’입니다. 전 세계 각국에서 79명의 작가가 참여한 2023광주비엔날레 본 전시회는 대주제를 탐구하는 4가지 소주제 별로 전시장을 꾸몄습니다. KBC는 김옥조 선임기자의 이번 전시회 취재 관람기를 연재합니다. <편집자주>

    제4전시장에서 제5전시장으로 내려가는 통로 중간에서 만나는 차일리 쿠마리 싱 버만의 작품 ‘멋진 신세계를 기억하며’는 세 번째 소주제 ‘일시적 주권’의 마지막 작품입니다.

    제4전시실에서 제5전시실로 내려가는 이동 통로에서도 어김없이 작품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중간 지점 벽면에 어디선가 흔히 봤던 네온사인 광고 같은 작품입니다. 일반 사람들의 눈에 익숙한 불빛과 색감을 뿜어내는 재료를 사용하여 마치 용트림하는 형상과 그 속에 사람의 모습이 혼재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작품은 차일리 쿠마리 싱 버만의 ‘멋진 신세계를 기억하며’인데, 나중에 가이드북을 보고 나서야 세 번째 소주제 ‘일시적 주권’의 마지막 작품임을 알았습니다. 이 네온사인은 인도 신화, 대중문화, 여성운동, 정치적 행동주의, 식민지 유산 등을 참조해 제작되었다고 합니다. 시각적 이미지는 가벼운데 함축된 내용은 많이 무겁습니다.

    ◇ 네 번째 소주제 ‘행성의 시간들’(제5전시장)

    제5전시실에서는 소주제 ‘행성의 시간들’을 만납니다. 전시 기획자는 이 전시에 대해 “생태와 환경 정의에 대한 ‘행성적 비전’의 한계와 가능성을 살펴 본다”고 밝혔습니다. 이 말을 알려고 하거나 이해하려 하면 더 난해해 질 것 같습니다. 앞서의 전시들처럼 내가 보고 느낀 대로 받아들이는 게 가장 마음이 편할 것입니다.

    ▲제5전시장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눈길을 사로잡는 멜라니 보나조의 영상 설치 작품 ‘터치미텔’은 어린이와 어른들이 한데 어우러져 바닥에 깔린 오브제 체험을 할 수 있어 인기가 많다.

    이 전시장은 작품 배치 순서대로 보면 입구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아보는 게 기획자의 의도입니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습관적으로 앞서의 전시장처럼 시계방향으로 돕니다. 그래서 입장과 동시에 마주하는 공간이 멜라니 보나조의 영상 설치 작품 ‘터치미텔’(2019)입니다.

    이 작품은 벽면에 영상이 있고 바닥에 놀이기구 같은 쿠션 모형들이 널브러져 있습니다. 아이들은 바로 그 위에 뒹굴며 작품을 알던 모르던 그 공간에서 노는 게 즐겁습니다. 함께 온 어른들도 아이들처럼 동심의 세계에 들어가 잠시 시간을 내려놓습니다.

    사실 설명서를 보면 이 작품은 아이들과 어른들이 성적 친밀함과 그 한계, 자기 몸 알기에 대해 생각해 보고 이야기하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합니다. 자기의 몸, 타인과의 신체 접촉을 경험하는 방식을 살펴보며 몸의 언어에 대해 터득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습니다.

    ▲작고 작가 킴 림의 작품은 조각과 드로잉, 석고, 청동, 판화 등을 한자리에 모아 기하학적 형태의 미니멀리즘 미술의 정수를 볼 수 있다.

    킴 림의 조각과 드로잉, 판화는 현대미술의 진면목을 보여주는데 손색이 없습니다. 작고 작가인 그의 작품은 전 세계를 떠돌아다니며 발견한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를 종합하여 미국의 미니멀리즘과 궤를 같이 하였다고 합니다.

    이번 광주비엔날레에서는 판화와 오린 종이, 석고, 청동, 대리석, 목재 등으로 만든 조각들을 함께 배치하여 킴 림 작업을 전체적으로 조망합니다. 가장 현대미술 작업을 관통하는 느낌이 강하고 깊은 사유와 깔끔하고 잔맛 없는 표현이 인상적이 아닌가 싶습니다.

    ▲앨런 마이컬슨의 작품 ‘패총’(2021)은 바닷가에서 흔하게 보는 굴껍데기를 쌓아 그 위에 스크린을 설치한 이색 작업.

    억압된 역사의 회복 및 선주민과 자연에 가해진 식민주의를 주제로 작업해 온 앨런 마이컬슨은 영상 설치 작업을 선보입니다. 그는 특이하게 굴껍데기를 전시실 구석 모서리에 경사면으로 쌓아 여기에 영상을 투사하는 방식의 작업을 보여줍니다.

    그의 작품 ‘패총’(2021)은 우리나라 굴 주산지인 경남 통영에서 굴 패각들의 가져왔습니다. 전시 이후에는 다시 통영으로 가져가서 현지에서 재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활용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패총을 스크린으로 하여 바닥에 가까운 경사면에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영상을 비춰 관람객의 호기심과 궁금증을 유발합니다.

    ▲유마 타루의 설치작품 ‘천과 같은 혀’(2021)는 천정에 매달려 마치 하늘을 날아오르는 용의 형상처럼 역동성과 율동감을 보여준다.

    일본 작가 유마 타루의 설치작품 ‘천과 같은 혀’(2021)은 관람객 동선 위 천정에 매달려 마치 하늘을 날아오르는 용의 형상처럼 역동성과 율동감을 보여줍니다. 꼼꼼히 살펴보면 색물을 들인 천을 연결하여 생동감 강한 분위기의 작업을 드러냅니다.

    이 작품은 모시실을 손으로 엮어 짠 네 개의 천으로 구성됐습니다. 각각의 천은 천장에 매달려 부드럽게 물결치는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이것은 작가의 모국어를 시각적으로 재현하려는 의도를 담았다고 합니다.

    ▲압바스 아크하반의 작품 ‘루프’(2023)는 인공폭포를 설치해 자연적인 것과 인공적이 것의 경계를 살펴본다.
    시원하고 청량감 있는 작품도 눈길을 끕니다. 압바스 아크하반의 작품 ‘루프’(20203)는 한마디로 ‘돌과 물의 변주’라고 부제를 달아주고 싶습니다. 이번 전시 출품작 중에서 가장 쉽고 편하고 난해하지 않은 작품 중의 하나일 것이기 때문입니다.

    작가는 전시회가 열리는 지역 광주의 자갈과 돌을 사용하여 인공폭포를 만들었습니다. 무등산 기슭의 언 골짜기 개울가에 나와 있는 듯 돌돌돌 물소리가 들이고 자연석과 돌멩이들이 눈에 듭니다.

    이 작품은 전작 ‘흐르다’(2021)에서 출발한 아이디어를 확정하는 작업이라고 합니다. ‘재현’의 개념을 재해석하는 설치 작품으로 자연적인 것과 인공적인 것, 실재와 가상 사이 모호한 경계를 포착한려는 의도를 가진 작품입니다.

    ▲제5전시실은 평면과 입체, 설치, 영상 작품이 혼재되어 현대미술의 다양한 면면을 엿볼 수 있다.

    이번 광주비엔날레는 가족과 함께 한나절을 즐기기에는 최적의 봄나들이 공간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전시장 전체를 한 바퀴 도는데 두 세 시간 정도 보통 걸릴 것 같습니다. 하지만 관람하는 동안 내내 지루하지 않고 마치 잔잔한 호수의 표면을 미끄러져 지나온 듯한 감흥을 자아냅니다.

    아무런 부담 없이 난해함 없이 들여다보기에 좋은 전시회가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전시장 곳곳에 관람객들이 직접 작품 속으로 들어가고 직·간접의 체험 기회를 줍니다. 이것은 현대미술이 어렵다는 선입견을 떨쳐 내는데 도움을 주는데 일조했을 것입니다.

    일반인들이 가장 친숙하게 다가가는 그림인 얼굴 이미지가 대부분이어서 낯설거나 하지 않는 편안한 관람이 되었다고 평가합니다.

    또한 전시실 중간 중간에 나무의자를 놓아 관람객들이 쉬어갈 수 있게 배려한 것도 ‘쉽’과 ‘여유’라는 전시공학의 컨셉으로 보입니다. 공간 구획에 있어서도 격한 구조보다는 친환경 소재를 다뤄서 격자형 부스를 만들어 작품의 일부로써 인식되기도 하였습니다.

    ▲광주비엔날레 본전시 전시관의 입구와 출구가 있는 로비의 벽면에 설치된 대형벽화는 관람객들의 마지막 눈길을 잡아끈다.

    반면 지역성을 강조하는 지역 미술계 일부에서 ‘광주다운’ 강한 임팩트는 부족하다는 지적의 목소리도 없지 않습니다.

    원래 9월 가을에 열리던 광주비엔날레가 봄으로 옮겨 ‘5월’을 앞두고 열리는 ‘광주’비엔날레입니다.

    그 창설 일부 취지에 부합하는 ‘광주정신’이라고 하는 큰 목소리와 메시지를 어디에선가는 부각시켜야 뒷말이 없습니다.

    물처럼 부드럽게만 강조하다보면 애써 외면한 느낌도 지우기 어렵다는 생각을 줄 수도 있을 겁니다.

    개막 일주일이 지난 시점에서 아직 국내 평론가나 언론의 평가도 활발하게 나오지는 않고 있습니다.

    관람은 편하고 쉬웠다는 느낌이지만 끝내 머리 속에 담아 나오는 것이 무엇이 있는가에 반문이 나옵니다. 순전히 개인적인 생각일 뿐입니다.

    물론 광주비엔날레는 광주나 한국 미술계의 평가나 지적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국제현대미술전’인 만큼 앞으로 쏟아질 세계의 유명 미술평론가와 비평가, 미술전문 매체들의 평가를 기다려 봐야합니다.

    “비로소 우리 곁에 다시 돌아온 광주비엔날레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