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인구 2만 7천 명의 작은 도시 구례가 들썩이고
있습니다
전남에서도 인구가 가장 적고
대형 개발 사업도 없는 구례의
땅값 상승률이 전국 2위를 기록했는데요
어떤 이유에서 일까요?
이상환 기자가 그 궁금증을 풀어드립니다.
【 기자 】
섬진강이 내려다보이는 지리산 자락에 자리잡은 전원주택 단집니다.
지붕에 타일을 붙이는 마무리 작업이 한창이고, 한켠에서는 펜션을 짓기 위한 터파기 공사가
진행 중입니다.
강과 산이 어우러진 천혜의 환경에 비교적 땅값까지 저렴하다보니 전원주택을 지으려는 전국의 귀농인과 개발업자들이 구례로 몰리고 있습니다.
▶ 싱크 : 전원주택 입주자
- "자연환경은 제가 보는 견해로는 최고입니다. 결과적으로 보면 집을 짓는데 싸죠."
지난해 200여개 전원주택이 조성된데 이어 앞으로 백 10개 동이 들어설 예정으로 소규모 개발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원주택을 짓기 위해 대부분 농지나 임야를 주거지역으로 전환하다보니 땅값 상승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이재우 / 한국감정원 순천지사장
- "농지, 임야 등이 택지로 전환되면 큰 폭으로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데 보통 10만 원 미만이던 농지들이 개발이 되면 20~30만 원 수준으로 크게 오르게 때문에..."
여기에 용방면 일대 5만 제곱미터에 아이쿱생협의 신규 농공단지 조성이 시작됐고, 아파트 분양이 한꺼번에 이뤄진 점도 땅값 상승의 요인으로 꼽힙니다.
▶ 인터뷰 : 유형권 / 공인중개사
- "작년에 아파트가 200세대 정도 분양되고 거래도 활발하게 되다보니까 지가상승률이 따라서 올라간 것 같습니다. "
이번 지가변동률을 조사한 한국감정원은 늘어나는 귀농귀촌 인구에 당분간 구례의 땅값 상승이 이어지겠지만 입지가 좋은 곳은 대부분 개발이 이뤄졌기 때문에 성급한 투자는 금물이라고 조언했습니다.
kbc 이상환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