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광주 도시형생활주택의 중복 사기분양 피해자가 천 명을 넘어선 가운데, 경찰이 시행사 임원 사무실 등에 대해 압수수색을 벌였습니다.
부동산 신탁회사와 중개업소 등까지 수사가 확대될 지 주목됩니다. 김재현 기잡니다.
【 기자 】
경찰이 광주 서구의 한 도시형생활주택 사기 사건 수사와 관련해 시행사 사무실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습니다.
지난달 18일부터 피해자들의 고소장을 접수해 수사에 착수한 경찰은 피의자를 특정하고 혐의 입증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경찰이 파악하고 있는 피해자 수는 천 여 명, 피해액은 130억 원 규모입니다.
하지만 피해자가 계속 늘고 있어 경찰의 수사범위도 확대될 가능성이 큽니다.
▶ 싱크 : 경찰 관계자
- "거기에 가담한 사람들이나 이런 사람들을 저희들이 선별해 가지고 수사를 하고 있어요. 시공사도 관련돼 있거나 그렇다면은 그쪽으로도 수사가 다 되는 거고.."
피해자들은 시행사 임원들 뿐만 아니라 계약을 소개하고 수수료와 뒷돈을 챙긴 공인중개사와 신탁회사 등에 대해서도 수사가 확대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 싱크 : 비대위 관계자
- "(공인중개사들이) 돈까지 받았어요. 도의적인 게 아니라 계산적으로도 맞는 거예요 (고객을) 돕는 게.. 그런데 안 나타나요. 전화 한 통 없습니다. 그리고 어떻게 하는 게 맞겠습니까? 법적으로 이렇게 하세요 그런 말도 없어요. 왜 없을까요?"
비대위는 시공사와 부동산 신탁회사 등을 추가 고소할 예정이어서 사기분양의 파장은 갈수록 커질 전망입니다. kbc 김재현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