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전남 지역 특구 난립..유명무실

    작성 : 2015-12-12 20:50:50

    【 앵커멘트 】
    정부는 2004년 부터 지자체별로 특화사업을 집중 육성해서 지역 경제활성화를 이끌겠다며 특구를 지정해오고 있는데요.

    전남에만 모두 33곳이 지정됐지만, 별다른 지원도, 성과도 없어 이름 뿐인 제도로 전락했습니다. 천정인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2004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국제화 교육특구'로 지정된 순천시.

    10년이 지났지만 무료 영어강좌를 열거나 학교에 원어민 교사를 지원하는 게 전붑니다.

    일반 지자체와 다를 게 없습니다.

    ▶ 스탠딩 : 천정인
    - "순천시는 영어 특화프로그램을 곳곳에서 운영하고 있지만 시민들은 별다른 체감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 인터뷰 : 임예손 / 순천시 연향동
    - "특구로 지정됐는지는 몰랐어요 살면서. (영어 교육이) 특별하다는 생각 자체를 못했습니다"


    이같은 교육특구가 전남에만 목포와 여수 등 7곳이나 되지만 상황은 마찬가집니다.

    ▶ 싱크 : 교육특구 관계자
    - "(특구 전과 후가) 별 차이가 없어요. 마찬가지에요. 원래 하던 사업만 계속 하는거에요 교육 환경개선 사업이요."

    전남지역 특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특산품과 연계한 향토자원 특구의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

    함평 나비 특구는 지정 이후 10년 만에 나비 사육농가가 오히려 10분의 1로 줄었습니다.

    정부 예산 지원이 전혀 없어 대부분의 지자체들이 지정만 받고 사업 확대나 새로운 사업에 나서지 않기 때문입니다.

    ▶ 인터뷰 : 나주몽 / 전남대 경제학부 교수
    - "수요와 연관되어져서 지역 경제발전에 연계되서 수요 창출까지 이어져야되는데 연계고리가 상당히 부족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름 뿐인 특구로 전락한 지 오래지만, 시군들은 여전히 지정에 열을 올리면서 단체장들의 홍보용 실적쌓기라는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케이비씨 천정인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