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어린이와 노인 등 교통약자를 위해 지정한 보호구역이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입니다.
보호구역에서 교통법규를 위반하면 상대적으로 강한 처벌을 받는데요, 운전자들의 민원과 항의가 잇따르면서 단속을 나서기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정경원 기잡니다.
【 기자 】
아이들이 쏟아져 나오는 하교시간, 학부모들이 차들 사이사이에서 교통지도에 나섭니다.
▶ 스탠딩 : 정경원
- "이곳은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곳입니다. 거리가 300미터 밖에 안 되지만 불법 주정차된 차량은 서른 대가 넘습니다"
때문에 주차된 차량 사이로 어린이가 뛰어들어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큽니다.
▶ 인터뷰 : 최수현 / 학부모 안전도우미
- "주차 공간이 없다 보니까 보도 옆으로 차들이 많이 대서 그게 위험을 초래하고 있단 느낌을 받았었거든요"
(반투명CG)
광주전남에는 어린이보호구역을 비롯한 교통약자 보호구역이 무려 천6백여 곳,//
하지만 실효성은 의문입니다.
효과를 내려면 강력한 단속을 해야하지만, 도로를 이용하거나 단속에 걸린 운전자들의 민원이 잇따르면서 단속은 소극적으로 이뤄집니다.
특히 법규를 위반하면 범칙금이나 과태료가
두 배가 부과돼 운전자들의 항의는 더 거셉니다
▶ 싱크 : 광주시 관계자
- "결국 이용자 시민들이 볼멘소리를 또 하게 돼 있거든요. 돈 들어가고, "그럼 차 댈 데가 없는데 어디다 대란 이야기냐"라며...그것 또한 악순환이고... "
CG
상황이 이렇다보니 지난 3년 동안 광주 시내 어린이보호구역에서만 백10여 건의 사고가 발생해 어린이 118명이 목숨을 잃거나 다쳤습니다.//
▶인터뷰: 김종완 / 도로교통공단 안전교육부장
- "단속을 당하면 운전자는 그것에 기분이 언짢겠지만 그것을 확실히 알 수가 있다는 이야깁니다. 그것이 퍼져 나가면 교통법규를 지키겠단 의식이 강화되고요"
한순간의 불편과 높은 범칙금에 불만을 품기보다는 교통약자를 배려하는 교통문화가 자리잡아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c 정경원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