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광주, 전남 곳곳에 유명 작가의 이름을 건
'작은 미술관'이 잇따라 문을 열고 있습니다.
작은 미술관은 주민간 소통공간은 물론
지역 문화를 알리는 첨병역할까지 하고
있습니다.
김효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연간 150만 명이 찾는 대한민국 대표 생태관광지‘ 담양 죽녹원’
가을바람에 푸르름을 더해가는 댓잎사이로 유명작가의 작은 미술관이 문을 열었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동서양의 고전 명화들이 첨단 디지털 기술로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 인터뷰 : 이이남 / 미디어아트 작가
- "재해석된 대나무에 현대미술, 현대미디어가 어떻게 재생되는지를 보여주고 또 이 공간에서만 볼 수 있는 미디어아트를 보여줄 예정입니다."
담양군이 기존 시설을 미술관으로 개조했고,
전시사업을 하는 미래세움이 운영비 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작은 미술관의 개관으로 죽녹원은 자연과 첨단문화를 접목해 새로운 자연예술관광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 인터뷰 : 최형식 / 담양군수
- "세계적인 미디어아트를 또 예술과 함께 공감하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게 됐습니다."
담양대담 미술관 , 고샅길에 둥지를 튼 한희원 미술관 등 작은 미술관들은 단순한 전시공간을 넘어 오가는 이들에게 소통공간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근 지역에서는 문화거점이자 사랑방 역할을 하는 ‘작은 미술관’ 등이 잇따라 개관하며 지역예술을 알리는 문화등대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습니다. kbc 김효성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