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한국 수소차 수출 '0대'..주도권 상실 '우려'

    작성 : 2024-06-14 07:19:24 수정 : 2024-06-14 07:56:07
    ▲현대차 수소차 '넥쏘' [현대자동차]

    지난달 우리나라가 수소전기차(FCEV)를 한 대도 수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4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달 승용과 상용을 합친 수소차 수출량은 0대였습니다.

    지난해 10월에 이어 7개월 만에 다시 0대를 기록한 겁니다.

    올해 1~5월 누적 수소차 수출량도 지난해 같은 기간(233대)보다 74.2%나 급감한 60대에 그쳤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소차 수출량이 하반기에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고려하면 올해 연간 수소차 수출량이 100대를 넘기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

    수소차는 그동안 현대차가 넥쏘와 엑시언트 트럭을 내세워 글로벌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고 있었지만, 충전 인프라 부족과 수소 충전 비용 상승, 한정된 차량 선택지 등으로 역성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수소차 수출량은 2018년 넥쏘가 출시하며 2019년 788대로 크게 늘었고, 2020년 수소 상용차 엑시언트 트럭 출시로, 같은 해 수출량은 1,041대를 기록했습니다.

    수소차 수출량은 2021년 1,121대로 정점을 찍은 뒤 2022년 400대, 지난해 296대로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일각에서는 우리나라가 수소차 주도권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주춤한 사이 일본과 중국이 글로벌 수소차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올해 1분기 일본 도요타가 미라이를 내세워 36.4%의 점유율로 1위에 올랐습니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수소 상용차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해 34.6%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현대차그룹은 넥쏘 후속으로 카니발과 스타리아 수소차를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현대모비스의 수소연료전지사업을 인수 통합해 이원화됐던 기술력과 자원을 합쳐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내놨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