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넘이

    날짜선택
    • 전남 지자체들, 해넘이·해맞이 행사 모두 취소 "추모 분위기 동참"
      전남지역 지자체들이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들을 애도하기 위해 새해맞이 행사를 모두 취소했습니다. 31일 전남 각 지자체 등에 따르면, 순천시는 31일 와온 선착장 해넘이와 1월 1일 그린아일랜드 해맞이를 취소하기로 했습니다. 여수시도 1일 예정된 향일암 일출제를 진행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다만 해맞이 명소에 방문객들이 몰릴 수 있어서 안전요원을 배치하는 등 현장 질서유지와 안전관리에 철저히 대비하기로 했습니다. 완도군은 명사십리 해수욕장 해맞이를, 해남군은 31일과 1월 1일 예정된 땅끝 해넘이&해맞이 행사
      2024-12-31
    • 올해 마지막 날 일부 지역 눈·비 내리다 그쳐..해넘이 보여
      2024년의 마지막 날인 31일 강원내륙 등 일부 지역에 새벽 눈이나 비가 내리겠지만 차차 맑아지겠습니다. 일몰 시간에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해넘이를 볼 수 있을 전망입니다. 강원내륙·산지와 충북, 전북북동부, 경북북동내륙산지에 새벽까지 비 또는 눈이 내리겠습니다. 예상 적설량은 1㎝ 미만, 예상 강수량은 1㎜ 미만입니다. 아침 최저기온은 -4~5도, 낮 최고기온은 7~13도를 보이겠습니다. 오늘 광주와 전남은 아침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지며 춥고 바람도 강하게 불겠습니다. 구름 많은 날씨를 보이는 가운데
      2024-12-31
    • 땅끝해남에서 '새날, 새 희망'을 만나세요 땅끝 해넘이·해맞이 축제
      해남 땅끝마을에서 한해의 끝과 시작을 알리는 해넘이·해맞이 축제가 열립니다. 해남 땅끝마을은 북위 34도 17분 32초 우리나라 땅끝지점이 위치한 곳으로, 매년 12월 31일과 1월 1일에 걸쳐 해넘이·해맞이 축제가 열리고 있습니다. 올해로 26회째를 맞는 땅끝 해넘이·해맞이 축제는 갑진년 청룡의 해를 보내고, 을사년 청사의 해를 맞이하는 다채로운 공연과 기념행사가 준비돼 있습니다. 2024년의 마지막 날인 12월 31일에는 땅끝 음악회와 맴섬 앞에서 펼쳐지는 불쇼, 익스트림 벌룬쇼,
      2024-12-21
    • 광주ㆍ전남 내일 5mm 비..해넘이 보기 어려울 듯
      오늘(30일) 광주ㆍ전남은 종일 흐린 가운데 곳곳에 빗방울이 떨어졌습니다. 올해의 마지막날인 내일(31일)도 흐린 가운데 오후까지 5mm 안팎의 비가 내리겠습니다. 이로 인해 올해 마지막 해넘이를 보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내일 아침 최저기온은 목포 5도, 여수 6도 등 3~7도 분포를 보이겠고, 낮 최고기온은 광주와 목포 7도, 여수 9도 등 6 ~ 10도 분포를 보이며 오늘과 비슷하겠습니다.
      2023-12-30
    • '구름 낀 하늘'..올해 마지막 해넘이 "보기 어렵다"
      2023년 마지막 날인 31일은 전국이 대체로 흐리고 오전까지 대부분 지역에 비 또는 눈이 내리면서 대부분 지역에서 해넘이를 보기 어렵겠습니다. 다만, 낮은 구름이 엷어지는 일부 지역에서만 구름 사이로 해넘이를 볼 수 있겠습니다. 31일 충청권과 전라권 일부는 저녁까지, 제주도는 밤까지, 강원 영동과 경북 북부 동해안은 다음 달 1일 새벽까지 비 또는 눈이 이어지겠습니다. 강원도는 30∼31일 이틀 동안 산지에 5∼15㎝(많은 곳 북부 산지 20㎝ 이상), 내륙에 3∼8㎝(많은 곳 10㎝ 이상)의 눈
      2023-12-30
    • 광주·전남, 올해 마지막 해넘이 못 본다..새해 해돋이는 '가능'
      2024년 갑진년(甲辰年) 첫날, 광주·전남 지역에서 솟아오르는 첫 해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광주기상청은 내년 1월 1일 새벽 해상에 낮은 구름대가 유입되긴 하나, 내륙에서 해돋이를 보는 데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일부 해안 지역에서는 구름 사이로 해돋이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다행히 세밑 한파는 없겠지만, 오는 30일 오전부터 비가 내리기 시작해 올해 마지막 날인 31일까지 간헐적으로 비소식이 있겠습니다. 예상 강수량은 5mm 내외입니다. 31일 밤에는 다행히 비가 그치겠
      2023-12-28
    • 아쉬운 2022년을 뒤로 하고..곳곳 인파 북적
      【 앵커멘트 】 다사다난했던 2022년도 이제 몇 시간 남지 않았습니다. 2022년 마지막날, 지역민들은 아쉬운 마음으로 한 해를 마무리하며, 보다 나은 새해가 되길 기원했습니다. 정경원 기잡니다. 【 기자 】 전망대에 모여든 사람들이 저 멀리 다도해를 바라봅니다. 하늘이 점차 붉은 빛으로 물들고, 구름 사이로 나타난 태양은 이내 수평선 아래로 모습을 감춥니다. 올해 마지막 해넘이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표정에는 아쉬움과 기대가 교차합니다. ▶ 인터뷰 : 임형주 / 경기도 수원시 - "건강관리를 잘 못한 점이 많이 아쉽고 새
      2022-12-31
    • 새해 첫 일출 독도 7시 26분..전국 구름 사이로 볼 수 있을듯
      올해 마지막 일몰과 새해 첫 일출은 구름 사이로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새해 첫 해돋이를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곳은 독도로 오전 7시 26분이면 해가 뜨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반도 안에서는 울산 간절곶과 방어진이 오전 7시 31분으로 가장 이른 일출시각입니다. 서울의 올해 마지막 일몰 시각은 오후 5시 23분, 새해 첫 일출 시각은 오전 7시 47분입니다. 광주 오후 5시 30분 일몰, 오전 7시 41분 일출, 제주 오후 5시 36분 일몰, 오전 7시 38분 일출 등입니다. 2022년의 마지
      2022-12-30
    • 새해 첫 해 아침 7시 26분 독도서 떠오른다..고흥 외나로도 7시 36분
      2023년 새해 첫 해가 아침 7시 26분 독도에서 떠오릅니다. 올해 마지막 해는 국토 최서남단인 신안 가거도에서 오후 5시 40분에 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주요 지역의 2022년 12월 31일 일몰 시각과 2023년 1월 1일 일출시각을 발표했습니다. 새해 첫 해는 아침 7시 26분 독도에서 떠오르고, 내륙에서는 7시 31분 울산 간절곶과 방어진에서 처음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일출 명소로 꼽히는 제주 성산일출봉은 7시 36분, 강릉 정동진은 7시 39분에 일출을 볼 수 있습니다. 전남에서는 고흥 외나로도에
      2022-12-15
    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