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가격

    날짜선택
    • 올해 서울에서 가장 많이 오른 외식 메뉴는?
      올해 내내 '면플레이션'(면과 인플레이션 합성어·면 물가 상승) 현상이 지속하면서 서울 지역 8개 인기 외식 품목 중에서 칼국수 가격이 가장 많이 올랐습니다. 23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 소비자 선호 8개 외식 메뉴의 평균 가격은 작년 12월보다 3.44% 올랐습니다. 칼국수는 같은 기간 9,385원에서 9,846원으로 4.91% 올라 상승 폭이 가장 컸습니다. 칼국수 가격은 10년 전인 2015년 10월 6,545원에서 50.44% 올랐습니다. 서민이 가볍게 즐길 수 있는
      2025-11-23
    • "점심 뭘 먹어야 하나"..삼겹살·김밥·칼국수 가격 또 올라
      소비자들이 즐겨 찾는 주요 외식 메뉴 가격이 한 달 새 또 올랐습니다.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서울지역 김밥 한 줄 평균 가격이 3,623원으로 전달보다 23원(0.6%) 올랐습니다. 같은 기간 삼겹살(200g)은 2만 276원에서 2만 447원으로 171원(0.8%), 삼계탕은 1만 7,346원에서 1만 7,500원으로 154원(0.9%) 각각 상승했습니다. 또 비빔밥(1만 1,423원)은 38원(0.3%), 칼국수(9,615원)는 153원(1.6%)씩 가격이 뛰었습니다. 다만, 냉면(
      2025-05-14
    • "비싸서 몸보신도 못 하겠네"..서울 삼계탕 가격 1만 7천 원↑
      서울 삼계탕 가격이 처음으로 평균 1만 7천 원을 넘어섰습니다.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서울 기준 삼계탕 가격은 6월 1만 6,885원에서 지난달 1만 7,038원으로 한 달 새 0.9%(153원) 올랐습니다. 삼계탕값은 2017년 6월 1만 4,077원, 2022년 7월 1만 5,000원에 이어 지난해 1월 1만 6천 원대까지 올라섰습니다. 이로 인해 집에서 보양식을 해 먹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 지난 7월 12일부터 31일까지 광주 지역 이마트의 매출 분석 결과,
      2024-08-09
    • 계란 값 한 달 새 3.4% ↑..'7대 생필품' 가격 줄인상
      계란과 식용유, 화장지, 라면 등 7개 한국소비자원이 집중 관리하는 7개 생필품 가격이 지난달 모두 올랐습니다. 4일 소비자원에 따르면 계란 한 개는 638원에서 660원으로 3.4% 올랐고 식용유 100ml는 1,044원으로 2%, 화장지 1롤은 935원으로 1.5% 각각 상승했습니다. 라면은 1개에 791원으로 0.9%, 우유는 100㎖에 419원으로 0.4% 각각 상승했으며 밀가루는 100g에 235원으로 0.3%, 설탕은 100g에 372원으로 0.2% 각각 올랐습니다. 특히 계란과 설탕, 식용유, 밀가루, 화장지 등
      2024-07-05
    • "올여름엔 비싸서 냉면도 못 먹겠네"..외식비 또 올라
      서울 기준 8개 외식 대표 메뉴 가운데 김밥과 짜장면, 칼국수, 냉면 등 5개 주요 품목 가격이 지난달 또 오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기준 김밥과 짜장면, 칼국수, 냉면, 김치찌개백반 등 8개 주요 외식 품목 가운데 5개 품목의 평균 가격이 전달에 비해 올랐습니다. 지난 3월 3,323원이던 김밥 가격은 지난달 3,362원으로 올랐는데 2년 전과 비교하면 15.6%, 1년 전보다는 7.7% 오른 겁니다. 2022년 8월 처음 3천 원을 넘은 뒤 지난해 1월 3,1
      2024-05-17
    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