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이주 80년, '응답하라' 고려인 마을

    작성 : 2017-03-15 17:09:54

    【 앵커멘트 】
    항일운동을 하다 강제 이주당한 고려인의 후손들이 광주에서 제 2의 삶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부모의 고향을 찾아온 고려인들이 우리 이웃으로 잘 정착하도록 돕기 위해
    광주시와 고려인마을이 손을 잡았습니다.

    이준호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우즈베키스탄에서 태어난 고려인 2세 김 블라드미르 씨.

    대학 교수를 그만두고, 5년 전 부모의 나라에서 새 출발을 시작했습니다.

    공장에서 고된 일을 하며 생계를 이어가고 있지만, 한국에서 살게 돼 행복하다고 말합니다.

    ▶ 인터뷰 : 김 블라드미르 / 고려인 2세
    - "우리 아버지 어머니 날마다 눈물 막 흘렸어요. 우리 아들 한국 한 번 가보고 진짜 한 번 살아보라고 이런 말을 했어요.. "

    현재 광주에 정착해 살고 있는 고려인은
    모두 3천 5백여 명.

    열 명 중 아홉 명이 광산구 월곡동에 마련된
    고려인 마을에 살고 있습니다.


    지난 2009년부터 빠르게 증가했고, 올 들어서도 두달 여 만에 300명이 늘었습니다.//

    고려인 마을이 존재할 수 있었던 건, 기금을 조성해 지원센터를 설립하는 등 광주 시민들의 든든한 지원 덕분입니다.

    ▶ 인터뷰 : 신조야 / 고려인마을 대표
    - "광주 시민들이 우리 돌봐주지 않는다면 우리가 이렇게 (살지) 못합니다. 지금까지 계속 돌봐주신 것처럼 앞으로도 많이 돌봐주십시오. 감사합니다."

    강제이주 8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광주시와
    고려인마을이 손을 잡았습니다.

    고려인들이 우리 이웃으로 잘 정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이 이뤄집니다.

    ▶ 스탠딩 : 이준호
    - "80년 전 강제 이주됐던 고려인 후손들이 고향 땅에 돌아와, 광주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kbc 이준홉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