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순천시 한 공무원이 3년 동안 1억 원이 넘는
수입증지 대금을 빼돌려왔다는 소식 어제 전해드렸는데요.
여수와 완도에 이어 또다시 공무원의 공급
횡령 비리가 터지면서 유명무실한 지자체의
감시 시스템이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이상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수입증지 대금 등 세외 수입 금액을 입력하는 순천시의 회계처리시스템입니다.
이동민원실 여직원 박 모 씨는 이 시스템에
금액을 입력시키지 않거나 줄이는 수법으로 3년 동안 1억 천만 원을 빼돌린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회계시스템을 통해 실제 대금과 박 씨가 입력한 금액을 비교할 수 있었지만 해당 과의 팀장과 과장은 시스템 로그인 아이디조차 신청하지 않았습니다.
일일결산서류에 첨부해야 하는 입금 영수증도 없었지만 이를 확인하는 상급자는 없었습니다.
▶ 싱크 : 순천시 관계자
- "멀리 떨어져 있으니 과장은 확인하기가 곤란하잖아요. 현장에서 계장이 좀 확인해줘야 하는데 그것이 좀 미흡했지 않냐..."
이번 사건은 허술한 관리 감독에 장기간 공금 횡령이 가능했다는 점에서 여수시 공무원 80억 횡령 사건과도 닮은 꼴입니다.
2년 동안 공금 5억 원을 횡령한 완도군 여직원도 상급자가 회계 서류를 잘 확인하지 않는다는 점을 악용했습니다.
감시시스템은 있지만 이를 운용하는 이들의 무관심으로 시스템은 있으나마나한 존재로 전락했습니다.
▶ 인터뷰 : 김옥서 / 순천행의정모니터연대 운영위원장
- "공직자로서의 자세가 안 돼 있고 더더욱 공직기강이 해이되지 않았냐 그런 의구심을 갖게 됩니다."
▶ 스탠딩 : 이상환
- "상급자의 무관심과 있으나마나 한 감시시스템이 바뀌지 않는 이상 지자체 공무원들의 공금 횡령은 계속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입니다. kbc 이상환입니다.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