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을 에는 추위가 계속되고 있지만
전남 강진의 계곡과 논에서는
꽁꽁 언 얼음을 깨고 민물새우 즉
토하를 잡는 이색 풍경이 연출되고
있습니다
조선시대 궁중 진상품으로 쓰였던 토하는
청정 1급수에만 서식하는 친환경 수산물로
소비자들의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동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눈 덮인 계곡, 여기저기 크고작은
웅덩이들이 보입니다.
얼음을 깨고 나뭇잎들을 들추자
손톱만한 민물 새우들이 꿈틀댑니다.
흙과 이끼를 먹고 사는 토하는
청정한 계곡과 논에서 주로 서식하는
민물새우입니다.
스탠드업-이동근
"토하는 농약이 없는 청정 지역에서만
서식하기 때문에 친환경 농업의 대표적
부산물입니다"
가을걷이가 끝난 논에서도 이듬해
2월까지 잡히는데 친환경농업 특구가 많은
강진에서는 생산량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인터뷰-황정숙/강진 토하 생산자
"
젓갈로 가공되는 토하는 특유의 흙 향기와
고소한 맛이 일품입니다.
조선시대엔 궁중 진상품이었습니다
인터뷰-오병암/인천시 검단 3동
"
나는 곳이 한정돼 있어 농한기 고소득
작목으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인터뷰-김동신
강진골 토하젓 대표
친환경 농법은 농민들에게 쌀과 토하
두가지 소득을 안겨가져다 줬습니다.
KBC 이동근입니다.
랭킹뉴스
2025-08-20 11:11
"제주항공 사고 영상은 CG·유족은 배우"...60·70대 유튜버 징역형
2025-08-20 09:42
'택배 기사에 통행료 요구' 순천 아파트, 사과문 게시 "충분한 배려 부족"
2025-08-20 09:32
엘리베이터에 붙은 관리사무소 직인 없는 벽보 뜯었다 고소당해
2025-08-20 07:15
나주 사료 공장서 기계 점검하던 작업자 2명 질식
2025-08-19 21:33
'사건 수임하려고' 경찰관에 뇌물 준 변호사 구속기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