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올해부터 빈병을 반환할 때 돌려받는 보증금이커졌습니다.
소주병은 100원, 맥주병은 130원으로 올랐는데요, 현장에서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신민지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한 고물상에서 빈 맥주병을 가져온 할머니와
업주가 반환 보증금을 두고 실랑이를 벌입니다.
▶ 싱크 : 고물상 주인
- "실제 시장에선 형성이 안 돼서 돈을 드릴 수가 없어. 옛날 같은 가격으로밖에 드릴 수가 없어/ 올랐어도?/ 예"
빈병 반환 보증금은 (c.g.1) 올해부터 소주병이 40원에서 100원으로, 맥주병은 50원에서 130원으로 크게 올랐습니다.
빈병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섭니다.
하지만 인상된 보증금을 주는 고물상은 찾기
어렵습니다.
고물상 업주들은 빈병을 가져가는 업체들이
예전 가격대로 주기 때문에 어쩔수 없다고
항변합니다.
▶ 인터뷰 : 김영복 / 고물상 사장
- "오르면 올랐다고 딱 문자가 와요. 내일부터 얼마받아라 하고. 그런데 빈병같은 경우는 아직 (안왔어요)."
동네 구멍가게들도 마찬가집니다.
빈 병을 아예 받지 않거나 영수증 제출을
요구하고, 나아가 제한된 날짜만 수거하기도 합니다.
▶ 인터뷰 : 임송섭 / 슈퍼 사장
- "한 달에 한 번만 받는다고 여기에 써놓고. 매월 25일만 받는다고 써놓더라고요. 그리고 그날 아니면 안 받아요. 큰 매장은 대부분 그렇게 해요."
빈병 회수를 위해 올린 보증금 제도가
실제 현장에서는 겉돌고 있다는 얘깁니다.
▶ 인터뷰 : 염선례 / 고객
- "여기 아저씨가 주는 대로만 받아가지. (시장이) 형성이 안 됐다고 말하니 어쩔 수가 없어."
빈병을 받지 않거나 보증금을 제대로
주지 않는 고물상 업주나 가게 주인에 대해서는
지자체가 단속을 해야 하지만
사실상 손을 놓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지자체 관계자
- "지금 상황에서는 일괄적으로 관리는 불가능해요. 업체들도 다 제각각이고..문의가 들어오면 안내하고 과태료 심사하는 정도죠."
지자체가 제도 탓만 하는 동안
빈병 회수를 위한 보증금 제도가
무용지물이 되고 있습니다.
kbc 신민집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