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날짜선택
    • 일본산 제품 불매운동 지역 마트에서도 확산
      【 앵커멘트 】 일본의 한국 수출 규제에 반발하며 시작된 일본 상품 불매 운동이 광주ㆍ전남지역에서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소비자들 뿐 아니라 마트나 편의점 점주들이 매출 감소 우려에도 불구하고 일본산 제품 판매 중단에 연이어 나서고 있습니다. 이형길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광주 북구의 한 식자재 도매 마트. 담배 진열장에 일본 상품을 팔던 칸들이 모두 비어있습니다. 소비자들이 자주 찾는 일본산 맥주도 이 마트에는 없습니다. 일본 소스 제품을 팔던 판매대에는 이
      2019-07-17
    • 일본산 제품 불매운동 지역 마트에서도 확산
      【 앵커멘트 】 "일본 제품 불매 운동" 광주의 한 마트에 붙어있는 플래카드입니다. 이 마트에서는 이미 들여놓은 일본산 제품까지 모두 판매를 중단했습니다. 한국의 불매 운동이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던 한 일본 기업 임원의 말이 무색하게 일본산 제품 판매 거부 운동이 우리지역에서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형길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광주 북구의 한 식자재 도매 마트. 담배 진열장에 일본 상품을 팔던 칸들이 모두 비어있습니다. 소비자들이 자주 찾는 일본산
      2019-07-16
    • 광주 소매유통업, 3분기 경기전망 호전 기대
      광주 소매유통업체들은 3분기 경기 전망이 전분기보다 좋아질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광주상공회의소가 광주지역 66개 소매유통업체를 대상으로 '2019년 3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를 조사한 결과에 전분기 99보다 17포인트 상승한 116으로 나타났습니다. 업태별로는 백화점과 대형마트는 호전 기대감을 나타냈지만 편의점과 슈퍼마켓은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2019-07-16
    • 광주전남중기청, 일본 수출 규제 애로신고센터 운영
      중소벤처기업청이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중소기업 피해 대응에 나섭니다. 광주전남중소기업청은 일본 수출 규제로 인한 애로를 파악하고 매출 감소 피해가 구체적으로 드러난 기업에는 정책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일본 수출 규제 애로신고센터'를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다음달부터 긴급경영안정 자금 신청 요건에 일본 수출규제 피해기업을 추가하기로 했습니다.
      2019-07-16
    •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추진..광주 부동산 여파 촉각
      【 앵커멘트 】 정부가 민간택지 분양 아파트에도 분양가 상한제 적용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앞서 광주시에서도 자체적으로 분양가 상한제 추진을 정부에 건의한 만큼, 분양가 상한제 적용 지역에 광주도 포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형길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국토교통부가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추진을 처음 언급한 것은 지난 8일. 서울의 부동산 시장이 상승세로 방향을 바꾸고, 후분양제와 같이 분양가 규제 회피 수단까지 등장하자 정부가 내놓은 카드입니다. ▶ 싱크:김현미/국토교통부
      2019-07-16
    •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추진..광주 부동산 여파 촉각
      【 앵커멘트 】 정부가 민간택지 분양 아파트에도 분양가 상한제 적용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앞서 광주광역시도 지자체가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었는데요. 이달 내에 세부적인 안이 발표되면 부동산 시장여파도 적지 않을 전망입니다. 이형길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국토교통부가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추진을 처음 언급한 것은 지난 8일. 서울의 부동산 시장이 상승세로 방향을 바꾸고, 후분양제와 같이 분양가 규제 회피 수단까지 등장하자 정부가 내놓은 카드입
      2019-07-15
    • 女수구 선수 몰래 촬영 일본인 관광객 출국정지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에 출전한 여자 선수들의 신체를 몰래 촬영하다 적발된 일본인 관광객이 공항에서 출국정지 조치됐습니다. 광주광산경찰서는 어제(14일) 오전 남부대 수구 경기장에서 여자 선수들을 몰래 촬영한 혐의로 입건된 37살 일본인 관광객에 대해 긴급출국정지 조치했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일본인은 혐의를 부인했지만 경찰 조사 결과 카메라에서 선수들의 특정 신체부위를 촬영한 동영상이 일부 발견돼 오늘 오전 무안공항을 통해 일본으로 돌아가려다 출금조치됐습니다. 출국정지된 일본인은 최대 열흘간 국내에 머물러야
      2019-07-15
    • 3분기 광주지역 제조업 체감경기 다시 하락세
      광주지역 제조업 체감경기가 1분기 만에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광주상공회의소가 지난달 11일부터 21일까지 광주지역 제조업체 134개사를 대상으로 '3분기 기업경기실사지수, BSI'를 조사한 결과 전분기 106에서 19포인트 하락한 87로 집계됐습니다. 기업경기실사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이상이면 경기 호전, 미만이면 악화를 전망하는 기업이 많음을 의미합니다.
      2019-07-15
    • 30도 안팎 더위..내일 오후 곳곳 소나기
      휴일인 오늘 광주와 전남 지역은 대체로 구름 많은 날씨를 보인 가운데 전남 동부권에는 오후에 소나기가 내렸습니다. 낮 기온은 27도에서 30도 분포로 평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습니다. 내일도 오후부터 전남 내륙지역을 중심으로 소나기가 내리는 곳이 있겠습니다. 비는 내일 12시부터 오후 6시 사이에 5밀리미터에서 많은 곳은 60밀리미터가 예상됩니다.
      2019-07-14
    • 전남 벼 재해보험 가입 10만2천㏊..전국 최대
      올해 전남의 벼 농작물 재해보험 가입 면적이 10만 2천ha(헥타아르)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도내 벼 재배면적의 67%에 달하는 것으로 전국 가입면적 가운데 30%를 차지해 가입 면적이 전국 시도 중 가장 넓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도 별로는 영광군의 가입률이 96%로 가장 높았고, 강진군 고흥군이 80% 이상 가입률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2019-07-14
    • 광주 아파트 관리비 특·광역시 중 가장 저렴
      광주지역 아파트 관리비가 전국 특별시·광역시 가운데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전국 아파트 관리비 현황이 공개되는 공공주택관리 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광주지역 평균 아파트 관리비는 제곱미터 당 1,802원으로 7개 특·광역시 중 가장 쌌습니다. 전남지역의 경우 1,741원으로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낮았습니다.
      2019-07-14
    • 상생형 공동직장어린이집 광주 개설..'기업들 반색'
      【 앵커멘트 】 직장 어린이집은 육아의 부담을 크게 줄여주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직장 어린이집, 지금까지는 대기업들만 운영을 해왔는데요. 광주에 중소기업 직원들까지 모두 받아주는 상생형 공동직장어린이집 1호가 문을 열었습니다. 이형길 기잡니다. 【 기자 】 광주 금남로의 한 시중은행 3층. 사무실들이 즐비한 거리에 어린이집이 문을 열었습니다. 이 직장어린이집은 은행 직원 뿐 아니라 주변 회사에서 일하는 부모들도 아이를 맡길 수 있습니다. 대
      2019-07-13
    • 무안국제공항 이용객 47만 명..전년보다 89% 증가
      올 들어 무안국제공항의 이용객이 47만 3천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0%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이 중 국제선 이용객은 35만 8천 명으로, 전년보다 154%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무안국제공항은 현재 제주 정기 노선과 함께 일본 도쿄와 중국 상하이 등 9개국 14개 노선에서 주 110편이 운항 중입니다.
      2019-07-13
    • 광주지역 7월 입주 경기 악화
      이번달 광주지역의 입주 경기가 다소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주택산업연구원가 발표한 입주 경기 실사 지수에 따르면 7월 광주지역 전망치는 82,6으로 지난달보다 4.3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전남의 전망치는 81.2로, 1.2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지난달 광주와 전남의 입주율은 78.8%로 전달보다 4.8%포인트 하락했습니다.
      2019-07-13
    • 광주 중소기업 41%, 대기업 동반성장
      광주 중소기업 10곳 중 4곳은 대기업과 동반성장 여건이 나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가 광주지역 대기업 협력업체 13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2분기 협력업체 애로사항'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기업과 동반성장 여건에 대해 41.6%가 "나쁘다"고 답했고 '좋다'는 대답은 2.2%에 그쳤습니다. 대기업과 동반성장 여건이 나쁘다고 생각한 원인은 '납품 물량 감소'가 50.7%로 가장 많았고, '낮은 납품단가'가 뒤를 이었습니다.
      2019-07-12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