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무

    날짜선택
    • 알리·테무 판매자 정보 표기 없어…'소비자 보호' 어디에
      중국계 전자상거래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가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와 소비자 보호를 위한 자율 협약을 체결한 지 일주일이 지났지만, 판매자 정보조차 제대로 공개하지 않는 등 법규 위반 행태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2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알리익스프레스는 최저가 코너인 '천원마트'에서 취급하는 상당수 상품의 판매자 정보를 제대로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알리익스프레스 천원마트는 대부분 1천∼2천 원대 가격으로 누적 판매 수량이 10만 개가 넘는 상품이 많지만 상품 정보와 함께 브랜드 이름과 원산지만 표시하고 있는
      2024-05-21
    • 테무ㆍ알리서 산 '액체괴물'서 가습기 살균제 성분 검출
      중국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어린이 장난감인 슬라임 제품에서 가습기 살균제 성분이 검출됐습니다. 또, 어린이 필통 등 학용품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DEHP, DBP)와 납 성분이 나와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5월 둘째 주 해외 온라인 플랫폼 제품 안전성 검사 결과를 9일 발표했습니다. 시는 지난달 '해외 온라인 플랫폼 소비자 안전 확보 대책'을 발표하고 4월 말부터 한 달간 어린이용 완구·학용품·장신구·가죽제품을 매주 선정해 안전성 검사 결과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이번 검
      2024-05-09
    • '알리·테무' 판매 어린이 완구 납 최대 158배 검출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어린이용 완구 일부 제품에서 기준치의 158배에 달하는 유해물질이 검출됐습니다. 서울특별시는 어린이 완구·학용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일 밝혔습니다. 시는 지난달 '해외 온라인 플랫폼 소비자 안전 확보 대책'을 발표하고 4월 말부터 한 달간 어린이용 완구·학용품·장신구·가죽제품을 매주 선정해 안전성 검사를 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검사 대상은 가정의 달을 맞아 수요가
      2024-05-02
    • '발암물질이 3천 배!' 中 알리·테무 어린이 제품 38종 적발
      중국 해외직구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 제품에서 무더기로 중금속과 발암물질이 검출됐습니다. 30일 관세청은 알리와 테무 등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 제품 252종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15%에 해당하는 38종에서 국내 안전 기준치를 최대 3,026배 초과하는 유해 성분이 검출됐다고 밝혔습니다. 유해 성분이 검출된 38종 중 신발·학용품·장난감 등 27종에서 기준치 대비 최대 82배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됐습니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장기간 접촉하면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킬
      2024-04-30
    • "알리에서 반지 샀는데.." 발암물질 기준치 700배 초과
      중국 이커머스 업체 알리익스프레스(알리)와 테무에서 판매되고 있는 장신구 4개 중 1개에서 발암가능물질인 카드뮴, 납이 검출됐습니다. 알리에서 판매되고 있는 4,000원짜리 반지에는 안전 기준치의 700배가 넘는 카드뮴이 검출됐습니다. 관세청 인천본부세관은 7일 알리와 테무에서 판매하는 장신구 404개에 대한 성분을 분석한 결과, 전체의 24%인 96개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카드뮴, 납 등이 검출됐다고 밝혔습니다. 이 중에는 카드뮴이 70.3%나 들어있는 반지도 있었습니다. 환경부 고시에 따르면 카드뮴 함량이 0.1
      2024-04-08
    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