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날짜선택
    • 서해에 설치된 中구조물 조사 막혀..韓-中 해경 대치
      중국이 이어도 인근 서해 한중 잠정조치수역(PMZ)에 설치한 철골 구조물에 대해 우리 정부가 조사에 나섰다가 중국이 막아서면서 양측 해경이 대치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18일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달 26일 오후 2시 30분에 해양수산부 산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조사선인 온누리호(1,422t급)를 잠정조치 수역으로 보내 중국이 무단 설치한 구조물에 대한 점검을 시도했습니다. 정부는 미리 해경 등에도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온누리호가 구조물에 약 1㎞ 거리까지 접근하자, 중국 해경과 고무보트 3대에 나눠 탄 민간인들이
      2025-03-18
    • 충남 서해상 7명 승선 선박 전복..2명 구조·5명 실종
      충남 서해상에서 7명이 승선한 것으로 추정되는 선박이 전복돼 2명이 구조되고 5명이 실종돼 해경이 구조·수색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30일 태안해양경찰과 충남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이날 저녁 6시 26분쯤 충남 서산시 팔봉면 고파도 인근 해상에서 83t급 선박이 전복됐다는 신고가 들어왔습니다. 해당 선박에는 7명이 승선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고 직후 뒤집힌 선박 위에 올라와 있던 2명은 구조됐지만, 5명은 현재 실종됐다고 해경은 밝혔습니다. 구조된 사람들은 구명조끼를 입고 입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해
      2024-12-30
    • 우리나라 연안 해수면, 연평균 3.03mm 상승..'동해→서해→남해 순'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이 지난 34년간 10.3cm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마다 평균 3.03mm씩 높아진 셈입니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21개 연안 조위관측소의 해수면 높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1989년부터 지난해까지 34년간 해역별 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동해안이 연 3.44mm로 가장 높았고 이어 서해안 3.15mm, 남해안 2.71mm 순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습니다. 관측 지점별로는 울릉도가 연 5.31mm로 가장 높았으며, 군산 3.41mm, 포항 3.34mm, 보령 3.33mm, 속초 3.2
      2023-12-19
    • '금어기 해제'에 몰려든 중국 어선..'불법 조업과의 전쟁'
      【 앵커멘트 】 금어기가 풀리면서 중국어선들이 잇따라 우리 서해 바다로 몰려들고 있습니다. 무허가 어선은 물론 치어까지 싹쓸이하는 마구잡이 조업도 기승을 부리면서 해경이 집중 단속에 나섰습니다. 전쟁터 같은 해경의 불법조업 단속 현장을 임경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전남 신안군 가거도 먼바다 배타적 경제수역. 조업 중인 중국어선을 향해 해경의 고속단정이 속도를 높입니다. 어선에 오른 대원들이 어창을 열어보고 조업일지도 확인합니다. 우리 측 배타적 경제수역 내에서 조업을 하는 어선은 조업일지를 반드시 기재하도록
      2023-12-03
    • [영상]불법 조업 중국어선 2척 나포..해경에 흉기 휘두르며 저항
      우리나라 서해 소청도 해상에서 볼법조업을 하던 중국어선 2척이 격렬한 저항 끝에 나포됐습니다. 중부해경청 서해5도 특별경비단은 27일 저녁 8시쯤 인천광역시 옹진군 소청도 남방 100km 해상에서 불법으로 조업하던 30톤급 중국 국적 어선 2척을 나포했습니다. 중국 어선들은 허가 없이 우리나라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잡어 40상자를 잡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들은 출동한 우리 해경의 정선 명령에 불응하며 그물을 끊고 약 40여분 동안 11km 가량 도주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중국인 선장은 조타실에 진입하려는 해경 대원들에게 흉
      2023-03-28
    • 中, 서해서도 20일까지 군사훈련.."선박진입 금지"
      중국이 대만 주변 군사 훈련에 이어 서해와 보하이해 일대에서의 군사 훈련을 예고했습니다. 14일 중국해사국 홈페이지에 따르면 다롄해사국은 항행 안전 정보를 통해 15일 0시~ 20일 12시까지 우리나라의 서해(황해) 북부지역에서의 군사 임무 진행을 공지했습니다. 해사국은 해당 해역 내 4개 지점을 적시하고 군사임무 기간 내 이 해역으로의 선박 진입을 금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군사 임무의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좌표 확인 결과 해당 지역은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와 산둥성 웨이하이시 사이 해역으로 확인됐습니다. 해사국은
      2022-08-14
    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