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청 부활로 해경 출신 경찰관 '좌불안석'

    작성 : 2017-06-28 17:20:42

    【 앵커멘트 】
    정부가 해양경찰청을 부활하는 조직개편을
    예고하면서 인력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해체 당시 경찰로 보낸 2백여 명의
    정보*수사 인력을 다시 되찾겠다는 것인데
    친정을 떠난 해경 출신 경찰관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동근 기잡니다.

    【 기자 】
    *이팩트*
    "고심 끝에 해경을 해체하는 걸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세월호 참사 당시 부실 구조의 책임을 물어
    정부는 해경을 해체시키고 전국적으로 2백여명, 전남에서는 36명의 해양경찰관을 경찰로 전환시켰습니다.

    하지만 3년이 지나 새 정부는
    바다 전문성 확보를 위해 해경을 부활시키는
    조직 개편안을 내놨습니다.

    해체 때 줄어든 인력을 충원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는데 해경 출신 경찰관들은 좌불안석입니다.

    친정을 버리고 조직을 옮겼다는 꼬리표 때문에 불이익을 걱정하며 대다수가 복귀를 꺼리고 있습니다.

    ▶ 인터뷰(☎) : 해경 출신 경찰관
    - "한국 정서상 한 번 떠나온 조직에 다시 간다면 여러가지 인사 보복이나 근무지라든지 우려가 안 될 수가 없습니다"

    해경은 3년 전 넘어간 인력 규모를 되찾을 뿐이지 대상자 선정은 결정된 것이 없다는 입장입니다.

    ▶ 싱크 : 해경 관계자
    - "어쨌든 넘어간 인원만큼 와야 한다는 정도지 누가 오는 것에 대해서는 논의가 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경찰청은 인력 복귀에 대비한 듯
    최근 인사에서 해양 수사 부서와 해경 출신 간부에 대한 인사를 미뤘습니다.

    해경 내부 문건에서도 해체 때 넘어간 인력을 고스란히 복귀시키는 것을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 싱크 : 경찰 관계자
    - "분위기가 경찰의 해양 수사 기능이 축소 또는 폐지될 것으로 예상이 되죠"

    바다의 특수성과 전문성을 고려한 해경의
    부활은 필요하지만 일선 경찰관들의 인권과
    사기도 무시되서는 안 된다는 지적입니다.
    kbc 이동근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