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요즘 여수 앞 바다에서는 '바다의 달걀'이라 불리는 홍합 채취가 한창인데요.
바다 온난화의 영향으로 올해 수확량이
지난해보다 30%나 줄었지만 가격은 비슷하게
거래돼 어민들이 울상을 짓고 있습니다.
박승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바닷속에 잠겨있던 홍합 다발이 줄줄이 올라옵니다.
세척기를 통과한 홍합은 망에 담겨 어선 한가득 쌓입니다.
▶ 스탠딩 : 박승현
- "요즘 이 소형어선이 수확하는 홍합량은 하루 5톤에 이릅니다. "
올해는 바다수온이 홍합 성장에 적합한 10도
이하로 떨어지지 않고 먹이생물마저 적어 수확량이 지난해보다 30% 정도 줄었습니다.
▶ 인터뷰 : 김형모 / 홍합 양식어민
- "올해 작황이 예년만 못합니다. 성장률이 늦고 큰 것부터 먼저 낙하가 돼 버립니다. "
수확량이 줄었음에도 산지거래 가격은 10kg 한 망에 8천 원선으로 지난해와 비슷합니다.
오랜 불황으로 소비가 줄었기 때문입니다.
홍합은 '바다의 달걀'이라 불릴 정도로 맛과 영양이 뛰어납니다.
특히 여수 홍합은 국내 홍합품종 중 처음으로 친환경수산물 인증을 획득해 전국적인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정임조 / 여수시 어업생산팀장
- "5년 동안 패독이 발생되지 않은 그런 (깨끗한) 지역에서 품질 좋은 홍합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
전국 홍합 생산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여수 앞 바다.
생산량 감소에다 가격 보합세까지 보이면서 올해 400여 홍합양식어가 소득은 지난해보다 30% 준 3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kbc 박승현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