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대보름

    날짜선택
    • "두둥실 떠오른 정월대보름의 달, 광주과학관서 만나요"
      국립광주과학관이 오는 13일 올해의 정월대보름을 맞이해 특별천문행사 '달빛소담'을 개최합니다. 정월대보름은 정월(1월)의 보름날(15일)을 가리키는 말로 음력 1월 15일에 해당하는 한국의 전통 명절입니다. 예로부터 달맞이, 달집 태우기, 다리 밟기 등의 풍습이 있으며, 부럼이나 약밥을 먹는 날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올해 정월대보름은 음력 기준으로 2월 12일이지만, 천문력 기준으로 실제 보름달이 뜨는 2월 13일에 맞춰 행사가 운영됩니다. 이번 천문행사 '달빛소담:달빛에 소원을 담다'에서는 천체망원경을 통해 20
      2025-02-06
    • 정월 대보름 민속놀이.."전남농업박물관서 즐기세요"
      전남농업박물관이 오는 7일부터 8일까지 이틀간 농업박물관과 영산호관광지 농업테마공원 일원에서 '정월 대보름 민속 대축제'를 개최합니다. 정월 대보름은 1년 중에 가장 크고 밝은 달이 뜨는 날입니다. 우리 조상들은 정월 대보름날 전통 민속놀이를 하며 한 해의 건강과 풍요를 기원했습니다. 특히 달집태우기는 달이 떠오를 때 원추형의 대나무 달집에 불을 지르고, 불꽃이 타오르면 농악을 치면서 달집 주위를 함께 돌며 노는 정월 대보름의 대표적 민속놀이입니다. 전남농업박물관의 정월 대보름 달집태우기 행사는 전남 서부지역에서 가장
      2025-02-03
    • "설부터 정월대보름까지! 전남서 전통문화 체험해요"
      설 명절과 정월대보름을 맞아 전남 도내 19개 시군에서 214개의 세시풍속 행사와 다양한 전통문화 체험 프로그램이 펼쳐집니다. 오는 25일부터 30일까지 전남도농업박물관서는 6일간 '설맞이 민속놀이 체험행사'가 열립니다. 방문객들은 윷놀이, 투호, 제기차기 등 다양한 전통놀이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목포 자연사박물관에서는 28일부터 30일까지 새해 소망을 담은 연 만들기와 복주머니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됩니다. 순천 낙안읍성에선 '설맞이 체험프로그램 한마당'이 25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됩니다. 국악 공연, 염색
      2025-01-24
    • "소원을 말해봐"..정월대보름 둥근달, 언제 보면 좋을까?
      올해 정월대보름, 가장 둥근달을 볼 수 있는 시간은 언제일까?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정월대보름인 24일 보름달은 서울 기준 오후 6시 3분에 뜨고, 완전히 둥근달이 되는 시각은 밤 9시 반이 될 전망입니다. 그 밖에 보름달이 뜨는 시간은 부산 오후 5시 58분, 대전 오후 6시 3분, 대구 오후 5시 59분, 광주 오후 6시 7분 등입니다. 이번 정월대보름 보름달은 올해 가장 작게 보이는 보름달입니다. 일반적으로 정월대보름이나 한가위 보름달이 가장 크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달의 공전주기가 양력의 1년과
      2024-02-23
    • "보름달보러 창경궁 가자!"..정월대보름 행사 '풍성'
      정월대보름을 맞아 창경궁에서 다채로운 행사가 열립니다. 문화재청궁능유적본부는 오는 22일부터 나흘간 창경궁에서 '정월대보름, 창경궁에서 바라본 보름달' 행사를 연다고 20일 밝혔습니다. 행사 기간 동안 풍기대(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측정하기 위해 세운 깃발의 받침대) 주변에는 보름달 모형이 설치됩니다. 보름달 모형은 행사 기간 동안 저녁 6시부터 밤 8시 반까지 빛을 밝힙니다. 정월대보름 당일인 오는 24일엔 저녁 7시부터 1시간 반동안 보름달, 목성 등 겨울철 별자리를 관측할 수 있는 행사도 엽니다. 눈이나 비가 내리면 행
      2024-02-20
    • 대보름, 농업박물관에서 달집 태우기 체험하세요
      전라남도농업박물관은 24일 오후 4시부터 영암 삼호읍 영산호 관광지 농업테마공원에서 '갑진년 정월 대보름 달집태우기'행사를 개최합니다. 정월 대보름은 1년 중 가장 크고 밝은 달이 뜨는 날로, 예로부터 한 해의 건강과 풍요를 기원하는 다양한 민속놀이가 열렸습니다. 특히 달집태우기는 달이 떠오를 때 원추형의 달집에 불을 지르고 불꽃이 타오르면 농악을 치면서 달집 주위를 돌며 노는 놀이로 정월대보름의 대표적 민속놀이입니다. 전남도농업박물관의 달집태우기 행사는 전남 서부지역에서 가장 규모가 큰 대보름 행사입니다. 미리 제작한 1
      2024-02-19
    • 곳곳서 전통놀이 한마당 '정월대보름 분위기 만끽'
      【 앵커멘트 】 돌아오는 일요일은 정월대보름입니다. 설 연휴 이후 방역조치 완화로 곳곳에서 전통놀이가 재개되면서 정월대보름의 정겨운 풍경을 다시 볼 수 있게 됐습니다. 박성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풍물패의 신명 나는 장단에 작은 시골마을이 모처럼 활기를 되찾았습니다. 정월대보름,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사악한 기운을 쫓고 한 해의 복을 받기를 기원하는 '지신밟기'입니다. 코로나19 여파로 한동안 맥이 끊겼던 전통문화였지만 올해는 방역조치가 완화되면서 모처럼 마을 풍물패가 힘을 모았습니다. ▶ 인터뷰 : 박시현 /
      2023-02-03
    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