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량

    날짜선택
    • '잦은 비와 일조량 부족' 다시마 생산량 급감
      전국 최대 생산지인 완도의 올해 다시마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절반 이상 급감했습니다. 완도 금일 수협은 지난해 1천446톤이었던 다시마 위판량이 올해는 632톤으로 급감했고 생산액도 절반에 못 미치면서 어민들의 소득이 감소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작황 부진의 원인으로는 수확기를 앞둔 5월 잦은 비가 내렸고, 양식장 내 뻘과 잡풀 등 부유물이 증가해 엽체의 질이 나빠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2023-06-26
    • 올해 전남 지역 물김 생산량↓, 금액은↑
      전남도내 올해 물김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줄었지만 생산액은 늘었습니다. 전라남도에 따르면 2023년 산 물김 생산량은 39만 톤으로 지난해보다 4만 톤(10%)이 줄어든 반면, 위판액은 4,442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360억 원(9%)이 늘었습니다. 생산액이 증가한 주 원인은 일본·중국 등 김 양식 작황 부진으로 물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K-푸드 열풍으로 우리나라 김 수출이 증가한 데다, 고품질 김 생산을 위한 김 육상채묘 시설 및 냉동망 보관시설, 우량 김 종자 보급사업 등을 추진한 것이 주효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
      2023-05-25
    • 광양 매실 생산량 뚝..가뭄·이상 기온 영향
      전국 최대 매실 주산지인 전남 광양의 매실 생산량이 급감했습니다. 광양시는 지난해 겨울부터 이어진 가뭄과 개화기 이상 기온 등으로 인해 올해 광양 매실 생산량이 지난해 7,300톤보다 30% 이상 감소한 5천 톤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광양은 농가 3,600곳이 1,400ha 규모로 매실을 생산해 전국 생산량의 20%를 차지하는 매실 최대 주산지입니다. 광양은 지리적으로 지리산과 백운산이 북서 계절풍을 막아주면서 연평균 기온이 영상 13~14도 안팎으로 비교적 온난하고 따뜻한 기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광양 매실은 다른
      2023-05-23
    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