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지원

    날짜선택
    • 복지부, '산불 피해지역' 의료지원 등 이재민 긴급지원
      보건복지부는 26일 대규모 산불이 발생한 울산·경북·경남 지역에 대한 재난의료지원체계를 강화하고 이재민에 대한 긴급지원을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이날 긴급상황점검회의를 열고 기존 '재난안전 초기대응반'을 확대해 의료·생계·심리지원 등 빠른 일상 회복을 위한 총력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우선 복지부는 산불 위험 우려 지역에 있는 노인요양원, 요양병원 등 재난 대피 취약시설에 대한 24시간 상황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필요시 입소자에 대한 선제적 대피 조치
      2025-03-26
    • 전라남도, 울산·경남·경북 산불 피해지역에 2억 5천만 원 긴급 지원
      전라남도가 대형 산불로 피해를 입은 지역에 대한 긴급 지원에 나섰습니다. 26일 전라남도는 대형 산불 발생으로 큰 피해를 입은 울산·경북·경남 지역의 피해 복구를 위해 재해 구호 기금 2억 5천만 원을 긴급 지원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피해지역 복구와 주민의 조속한 일상 회복을 돕기 위한 것으로 지역별로는 경북과 경남에 각각 1억 원, 울산에 5천만 원입니다. 전라남도는 지금까지 산불 발생 후 산불 진화 헬기 3대, 소방 인력 118명, 소방 장비 24대 등 가능한 범위 내에서 경남 산청군과 경북 의성
      2025-03-26
    • 목포시 '여행사 홍보마케팅 긴급지원' 사업 실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관내 여행업체를 대상으로 '여행사 홍보마케팅 긴급지원' 사업이 시행됩니다. 목포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여행업체당 최대 300만 원의 홍보마케팅 비용을 지원합니다. 지원대상은 2024년 12월 말 기준 목포시에 등록돼 있으며, 현재 운영 중인 여행업체로, 동일 대표자가 운영하는 다수의 여행업체는 1개 업체만 지원이 가능합니다. 지원 범위는 온라인 홍보(홈페이지 개설, SNS 콘텐츠 제작 등)와 오프라인 홍보(신문 광고, 현수막, 전단지 등), 그리고 홍보 상품 제작 및 판매 마케팅 비
      2025-01-20
    • 전라남도 추석 전 고수온 피해어가에 재난지원금 25억 지급
      전라남도가 고수온 피해 양식어가의 조속한 경영 재개와 명절 민생 안정을 위해 59어가에 추석 전 재난 지원금 25억 원을 긴급 지급합니다. 또 융자금 19억 원을 저금리(1.5%)로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전남도는 고수온으로 피해 원인이 규명된 여수 조피볼락 양식 피해 어가에 1차적으로 재난 지원금(어가당 지원 한도 5천만 원)을 지급해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고, 빠른 복구를 돕기 위해 신속히 복구계획도 수립했습니다. 이번 1차 피해 복구 지원 이후 조피볼락 외 품종 및 추가 피해 신고어가에 대해 원인 분석을 완료해 2차 복구계
      2024-09-11
    • 전라남도 코로나19 집단발생 대응 방역물품 긴급 지원
      전라남도가 코로나19 감염 취약시설 집단 발생 시 신속 대응을 위해 방역물품 보유분 4만 2천 개를 시군 보건소에 긴급 지원했습니다. 해당 감염 취약시설은 요양병원 82개소, 노인시설 등 596개소, 정신건강증진시설 31개소, 장애인 복지시설 69개소 등입니다. 지원 물품은 손소독제(젤·액체·티슈) 6천 개, 마스크(KF94) 3만 5천 개, 자가진단키트 1천 개로 코로나19 감염취약시설에서 환자 발생 시 확산 차단을 위해 사용됩니다. 최근 전국적으로 코로나19 입원 환자가 계속 늘고 있습니다. 8월
      2024-08-14
    • 전남도, 민생 안정에 568억 긴급 투입
      세계적인 경제 불안이 가중되는 가운데 전남도가 민생 안정을 위해 568억 원을 긴급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긴급 지원 대책은 고물가로 어려운 소상공인과 취약계층 등 도민의 생계안정을 위한 것으로, 전남도는 신속하게 집행할 방침입니다. 이번 지원을 통해 소상공인의 채무 상환유예와 만기 기한을 1년씩 연장하고, 전남 지역 화폐 발행량 확대 및 인력난을 겪는 조선업 지원금, 운수업계 유류비 지원 등을 할 계획입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급격한 물가 상승과 코로나19 재유행 등 악재에 대비하기 위해 위기의식을 갖고 선제적 대책을
      2022-07-19
    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