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각가

    날짜선택
    • ‘요절한 예술가’ 양두환 조각 공모전 개최
      전남 진도 출신으로 30대 젊은 나이에 요절한 조각가 양두환을 기리는 '제2회 양두환 전국 조각 공모전'이 개최됩니다. 시에그린한국시화박물관은 제2회 양두환 전국 조각 공모전 요강을 최근 발표했습니다. 요강에 따르면 국적에 관계없이 만 20세 이상으로 1인 3점 이내 조각 작품을 출품할 수 있으며, 소정의 출품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1차 사진접수는 오는 9월 16일부터 22일 오후 5시까지 도착분에 한합니다. 1차 사진 심사 발표는 오는 9월 26일, 2차 실물작품 심사 발표는 10월 10일입니다. 시상내용은 △대상 상
      2025-06-30
    • '천체 안의 천체' 세계적 조각가 포모도로 별세
      이탈리아가 낳은 세계적인 조각가 아르날도 포모도로가 별세했다고 그의 재단이 23일(현지시간) 밝혔습니다. 재단에 따르면 포모도로는 99번째 생일을 하루 앞둔 전날 밀라노의 자택에서 눈을 감았습니다. 칼로타 몬테벨로 재단 디렉터는 "포모도로의 별세로 예술계는 가장 권위 있고 명철하며 비전 있는 목소리 중 하나를 잃었다"며 "거장은 엄청난 예술적 유산을 남겼다"고 애도했습니다. 이탈리아 안사(ANSA) 통신은 그를 이탈리아 현대 예술을 대표하는 가장 위대하고 널리 알려진 작가라고 소개했습니다. 포모도로는 금색 지구본 형태의 청
      2025-06-24
    • [남·별·이]'황금사과' 조각가 정춘표.."광주의 예술혼, 열정적으로 보여주고 싶었죠"(2편)
      '황금사과' 조각가 정춘표.."광주의 예술혼, 열정적으로 보여주고 싶었죠"(2편) '남도인 별난 이야기(남·별·이)'는 남도 땅에 뿌리 내린 한 떨기 들꽃처럼 소박하지만 향기로운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하고자 합니다. 여기에는 남다른 끼와 열정으로, 이웃과 사회에 선한 기운을 불어넣는 광주·전남 사람들의 황톳빛 이야기가 채워질 것입니다. <편집자 주> 정춘표 작가는 2018~2020년 전국조각가협회 제15대 이사장을 맡아 많은 일을 했습니다. 먼저 2018년 광주비엔날레
      2024-11-24
    • [남·별·이]'황금사과' 조각가 정춘표..금봉산 기슭, 가장 빛나는 조형예술(1편)
      '황금사과' 조각가 정춘표..금봉산 기슭, 가장 빛나는 조형예술(1편) '남도인 별난 이야기(남·별·이)'는 남도 땅에 뿌리 내린 한 떨기 들꽃처럼 소박하지만 향기로운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하고자 합니다. 여기에는 남다른 끼와 열정으로, 이웃과 사회에 선한 기운을 불어넣는 광주·전남 사람들의 황톳빛 이야기가 채워질 것입니다. <편집자 주>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촌동 금봉산 끝자락에 '아트 갤러리' 건물이 눈길을 끕니다. 약 40년 세월을 조각가로 살아온 정춘표 작가의 작업실
      2024-11-23
    • “천일염 생김새에서 영감받아 탄생한 조각 작품!”
      한반도 서남해안 바닷가 염전에서 생성되는 천일염의 육각 결정체에서 영감을 얻은 조각 작품이 탄생했습니다. 초현대 미감을 자극하고 있어 시선을 끌고 있습니다. 중진 조각가 김왕현 작가는 한국 '천일염의 보고'로 통하는 전남 신안군 비금도 출신입니다. 본인의 고향에서 생산되는 천일염의 형상미를 자신의 작품에 담아내고 있습니다. 김 작가는 2015년 신안군으로부터 천일염 상징조형물 제작을 의뢰받고 소금밭에 나가 세심하게 관찰한 끝에 소금의 독특한 결정체 형성 형태를 파악해 냈습니다. 김 작가는 크고 작은 육면체
      2024-10-10
    • 대법, "강제징용 노동자상 모델은 일본인" 명예훼손 아냐
      대법원이 '강제징용 노동자상(像) 모델은 일본인이다'라는 주장은 명예훼손이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대법원 3부는 조각가 김운성·김서경 씨 부부가 김소연 전 대전시의원과 이우연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 등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부부는 민노총과 한국노총의 의뢰를 받아 2016년 8월 일본 교토 단바 지역에 있는 단바망간기념관에 강제징용 노동자상을 설치했습니다. 이후 2019년까지 서울, 대전, 부산, 제주 등에 노동자상이 세워졌습니다. 이에 대해 김
      2023-11-30
    1

    랭킹뉴스